메뉴

올해 중국 전체 전력 소비량 9조 8000억㎾h 전망

'9조 8000억㎾h'

2024년 중국 전력 소비 예측량이다. 전년보다 약 6%가량 증가할 것으로 추산됐다.

전력은 오늘날 사회를 돌아가게 하는 유일의 동력이다. 전기차가 기존의 내연기관을 대체하고 나서면서 산업화 초기 가정과 공장에서만 유용했던 전력은 이제는 모든 이동 수단, 통신 수단에 필수불가결한 에너지가 되고 있다. 현재 젊은 세대들은 스마트폰 작동이 되지 않는 세상을 상상할 수조차 없는 게 바로 대표적인 방증이다. 

중국 거시경제의 '바로미터'인 전력 소비가 올해도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전력기업연합회(中国电力企业联合会, CEC)가 최근 발표한 '2023~2024년 국가 전력 수급 상황 분석 및 예측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중국 전체 전력 소비량은 전년 대비 약 6% 증가한 9조  8000억㎾h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전력 생산 부문별로 살펴보면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등) 발전 용량이 1300기가와트(GW)로 전체 발전 설비의 40%(2023년 36%)를 차지하는 반면 석탄 화력 발전 용량은 지난해 39.9%에서 올해 37%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신규 원자력발전단지의 가동으로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 수력을 모두 합산한 비화석 발전 설비 용량은 올해 말 기준 1860GW에 달해 전체 발전의 57%를 차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보고서는 올해 빅데이터센터, 5G 기지국 등 신규 인프라 구축이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 최대 전력부하가 2023년보다 약 1억㎾h 증가한 14억 5000만㎾h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지난해 중국 전체 전력 소비량은 9조 2220억㎾h, 1인당 전력 ​​소비량은 6539㎾h로 전년 대비 6.7% 증가했다.

중국은 2020년 9월 시진핑 국가주석이 '2030년까지 탄소 배출 정점, 2060년 이전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하는 이른바 '쌍탄(雙炭)'을 제시한 바 있다. 이후 비화력 발전 설비의 대대적인 확충에 나서 지난해 태양광과 풍력의 설비 용량이 2022년 대비 각각 55%, 20% 증가했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