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도시청년을 사로 잡은 몰입형 연극...중 네티즌 "문화가 진정한 관광 산업"

풍경은 그저 시골 마을일뿐인데, 중국 젊은이들의 성지가 됐다. 특히 연극을 좋아하는 중국 청년이라면 요즘 이 시골 마을을 모를수가 없다.

바로 허난성의 작은 마을 중모현이다. 

매년 여름 휴가철이면 이 마을에는 마을 찾은 외지 청년들로 북적인다. 풍경은 그저 흔하디 흔한 중국의 시골 마을인데 무엇이 이들 청년이 순례행렬을 이루도록 만들었을까?

답은 연극이다. 도시 청년들, 허난성 작은 마을에서 드라마에 빠져들었다.

중국 매체에서 만난 한 청년은 "드라마 한 편을 보기 위해 도시를 건너건너 왔다"고 말했다.

그럼 이 마을의 연극이 어떤 게 이들 청년의 마음을 사로 잡은 것일까?

바로 몰입형 연극 공연이 답이다. 이 공연에 푹 빠진 도시 청년들이 허난성의 이 한적한 시골로 ‘역관광’을 온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국에서는 시골에서 도시로 가는 게 관광의 정방향이다. 

물론 이 시골 마을도 도시 관광객을 위해 노력을 하기는 했다. 중모현은 허난성 정저우시에 위치한 전통적인 농업 중심 마을로 최근 몇 년 동안 관광 산업 발전을 위해 8개의 테마파크를 조성했다.

중국 테마파크 제1현라는 별칭도 얻었다. 

통계를 보면 2023년 중모현은 관광객 연인원 3,080만명을 맞이하여 151억위안 이상의 관광 수익을 올렸다. 이는 동기 대비 각각 189.4%, 155.7% 증가한 수치이다.

하지만 이 테마파크가 도시 청년들을 끌어드는 최대 요인은 아니다. 그럼 도시의 젊은이들이 왜 멀리 떨어진 허난성의 작은 마을로 여행을 오는 것일까?

관광객들의 반응을 살펴보면 허난성의 극장은 중국 국내에서 보기 드문 종합형 극장으로 연극 애호가에게는 놓칠 수 없는 곳이라고 입을 모은다.

다른 관광객은 테마파크의 21개 극장을 모두 둘러보기 위해 전용 티켓을 구매하였고 연극에 대한 기대가 매우 컸으며, 실제로 관람을 해보니 생각보다 훨씬 더 좋은 경험이었다고 말했다.

해당 테마파크 및 중모현 관계자는 7월말경에는 관광객이 최고조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하루 평균 관광객수가 약 15,000명에 달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여름철 관광 성수기를 맞이하여 해당 테마파크는 운영 시간을 연장하고 야간 공연 횟수를 늘리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관광객 안내 시스템을 개선하고 식음료의 서비스 퀄리티를 향상해 관광객에게 최고의 추억을 선물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