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편]중국, 글로벌 산업스파이전에 불을 붙였다

미국 유럽에서 중국 산업 스파이 줄줄이 적발돼

중국은 정보와 데이터의 ‘방화만리벽’으로 유명하다. 정작 자신들의 정보 보안창은 높이면서 해외 각지에서는 정보 수집활동을 강화하고 있어 각국 정부의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이미 미국은 중국 정부가 지원하는 헤커 조직에 대해 국회 차원의 보고서를 냈을 정도다.

실제 스파이 활동도 빈번해, 올 상반기 중 미국과 유럽에서 중국 간첩 행위를 적발했다는 보도가 잇따르기도 했다.

사실 스파이 전쟁은 ‘보이지 않는 전쟁’으로 인류의 역사에서 한 번도 사라진 적은 없다. 지난 냉전의 시대에는 소련과 미국의 스파이 전쟁은 지금도 전설로 남아 있을 정도다. 이스라엘의 스파이 활동은 그 치밀함과 정밀함에 각국의 경탄마저 자아낼 정도다.

중국의 스파이 활동 역시 사실 과거 있었던 국제 사회 정보전과 일맥한다. 그러나 최근 각국이 이 중국의 스파이 활동에 경각심은 높이는 것은 중국이 벌이는 스파이전은 국가의 미래 산업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7월 1일, 노르웨이 경찰은 중국에서 막 귀국한 노르웨이 남성을 오슬로 가르데르모엔 공항에서 중국을 위해 '중대한 정보 작전'을 벌인 혐의로 체포했다. 비슷한 시기에 프랑스 정부는 파리 주재 중국 대사관에서 일하던 반체제 인사의 송환을 시도한 스파이 2명을 추방했다.

미국에서도 올해 상반기 동안 법무부가 미군, 정보기관, 주요 기업이 연루된 최소 6건의 중국 스파이 사건을 적발했다.

지난 1월 8일, 미국 해군 병사가 중국 정보요원에게 민감한 군사 정보를 제공한 혐의로 27개월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2021년 8월부터 지난해 5월까지 미국 해군 작전 보안, 군사 훈련 및 훈련, 중요 인프라 건설에 대한 비공개 정보를 훔쳤고, 중국으로부터 1만 4866달러(약 10만 8063위안)의 뇌물을 받았다.

5월 24일, 71세의 전직 미국 중앙정보국(CIA) 요원이 미국 국방 정보를 수집하여 중국 정보기관에 제공하려는 음모를 꾸민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했다. 홍콩에서 태어난 그는 미국 시민권자로 귀화하여 1982년부터 1989년까지 CIA에서 일했다. 그는 CIA를 떠났음에도 불구하고 상하이시 공안국 정보요원의 요청으로 2001년 CIA에서 근무 중이던 상하이 태생의 다른 친척을 설득해 중국에 대량의 미국 국방 기밀문서를 제공했다.

또 지난 3월에는 미국 기술기업 구글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하던 중국인 직원이 미국 연방법원 배심원단에 의해 기소됐다. Google에서 근무하는 동안 개인은 인공 지능(AI)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고자 하는 중국 회사에서 개인적으로 일했다. 그는 구글에서 AI 영업 비밀이 담긴 500개 이상의 파일을 훔쳐 개인 계정에 저장했다.

지난 3월 뉴욕 브루클린 법원에 제출된 공소장에 따르면 캐나다 국적을 가진 중국인 거주자가 중국 공범과 공모해 유명 전기차 회사인 미국의 영업 비밀을 유출했다. 두 사람은 미국 회사에서 훔친 자동차 배터리 제조 기술을 판매하는 전문 회사를 중국에 설립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 315, 중국 소비시장의 최소한의 질적 보장, 노인 소비자 보호 등 2대 가치 내세워 눈길
“중국의 ‘3·15 방송’을 아시나요?” 중국 소비자 목소리를 대변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다. 한국으로 치면 과거 ‘2580’ 등과 같은 형식이다. 기업 제조 과정의 문제점을 심층 취재해 고발한다. 방송의 3·15는 3월 15일을 의미한다. 중국의 소비자 권익의 날이다. 프로그램은 이날 방송된다. 이 프로그램의 타깃이 된 기업은 사실상 경영이 끝났다고 봐야 할 정도로 중국에서는 치명적인 힘을 지니고 있다. 최근 이 방송이 중국 소비관련 두 가지 문제를 짚어 주목된다. 첫째, ‘가성비’는 소비자들의 공통된 요구다.전자상거래 플랫폼과 입점 업체 간의 치열한 경쟁, 그리고 ‘내가 가격을 낮췄다’라는 라이브 커머스의 가격 인하 경쟁이 심화되면서, 많은 상품의 가격이 점점 더 낮아지고 있다. 하지만 ‘품질’은 사정이 다르다. 가격이 지나치게 낮아지면서 기업들의 이윤이 극도로 줄어들자, 일부 업체들은 생존을 위해 품질을 희생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심지어 ‘흑백 양면 전략’을 구사하는 기업도 있다. 대기업 브랜드 제품은 정규 공장에서 생산해 기업 이미지를 구축하는 반면, 중소 유통 경로를 위한 제품은 품질을 무시한 채 생산해 폭리를 취하는 방식이다. 일부 업체들은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