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3분기 중국 스마트폰 시장 출하량 동기 대비 3% 증가, 앞서가는 vivo

올 3분기 중국의 스마트폰 1위는 중국 브랜드 ‘vivo’가 차지했다.

6일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같은 기간 중국 스마트폰은 6570대가 출하됐다. 전년동기 대비 3% 성장한 수치다. 출하량만으로는 3분기 연속 증가세다.

개학에 맞춰 학생 소비자들의 신규 스마트폰 마련 수요를 노린 것이 주효했다는 평이다.

그러나 시장 관찰자들은 향후 몇 분기 동안 재고 조정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였다.

운영 체제 측면에서 애플 iOS는 중국 시장에서 점유율을 15% 수준으로 안정적이었다. 전년 동기와 동일한 수준을 보였다.

안드로이드 시스템의 시장 점유율은 다소 감소하여 1년 전의 72%에서 70%로 낮아졌다.

화웨이의 Harmony OS는 시장 점유율이 전년 동기 13%에서 15%로 크게 상승하였다. 특히 화웨이는 10월에 자사 개발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버전 Harmony OS Next를 출시하였다.

이 시스템은 더 이상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지 않아 화웨이가 운영 체제 분야에서 독립을 향한 또 하나의 진전이라는 평을 받았다.

제조사 간 경쟁에서 vivo는 시장 점유율 19%로 중국 스마트폰 시장 선두 자리를 유지했다. 같은 기간 출하량 1,250만 대, 전년 대비 17%의 성장을 기록하였다. vivo의 안정적인 성과는 iQOO 시리즈의 강력한 수요와 Y 시리즈의 저가 시장에서의 성과, 그리고 X 시리즈의 고급 시장에서의 개선 덕분이다. 또한 vivo는 중국 최대 통신사인 중국 이동통신과의 협력을 강화하여 시장 성장을 더욱 촉진하였다.

그 뒤를 이어 샤오미가 시장 점유율 15%로 2위에 올라 출하량 1,020만 대, 전년 대비 13% 증가를 기록하였고, 이는 4분기 연속 두 자릿수 성장을 달성한 것이다. 샤오미의 성공 요인은 홍미 제품 라인 업데이트와 새로 출시된 K70 및 Note 14 시리즈가 소비자에게 큰 호응을 얻은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아울러 샤오미는 최신 폴더블 시리즈인 Mix Fold 4와 Mix Flip을 출시하여 초고가 시장을 공략하며 제품 라인을 더욱 확장하였다.

OPPO와 원플러스는 합계 출하량 1,020만 대로 샤오미와 함께 2위를 기록하였으나, 전체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하였다. OPPO는 3분기에 제품 라인을 정리하여 중고가 시장에 집중하고 젊은 소비자를 겨냥한 A3 시리즈를 출시하였다. 반면 원플러스는 중국의 온라인 시장에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해 전년 대비 8% 감소를 나타냈다.

4위 자리를 유지한 아너는 출하량 1,000만 대, 전년 대비 11% 감소를 기록하였다. 샤오미와 vivo의 경쟁이 심화되고 부품 비용 압박이 가중되면서 아너의 경쟁력은 다소 약화되었다. 아너는 또한 잠재적 IPO 준비에 착수하고 경영진 교체와 지분 구조 조정을 단행하였다.

애플과 화웨이는 각각 시장 점유율 15%로 공동 5위를 차지하였다. 애플의 이번 분기 iPhone 출하량은 990만 대로 전년 대비 2% 증가하였으며, 이는 iPhone 15 시리즈와 기존 iPhone의 과감한 가격 할인 및 제3자 채널의 적극적인 프로모션 덕분이다. 그러나 지정학적 긴장과 중국 제조사들의 고급 시장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애플의 향후 실적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화웨이는 Mate 60 시리즈의 꾸준한 수요로 성장세를 이어갔으나, Pura 시리즈의 실적은 부진하였고, 새로 출시한 폴더블 기기는 높은 가격과 시장의 전체적인 냉각으로 인해 다소 저조한 성과를 보였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