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3분기 중국 스마트폰 시장 출하량 동기 대비 3% 증가, 앞서가는 vivo

올 3분기 중국의 스마트폰 1위는 중국 브랜드 ‘vivo’가 차지했다.

6일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같은 기간 중국 스마트폰은 6570대가 출하됐다. 전년동기 대비 3% 성장한 수치다. 출하량만으로는 3분기 연속 증가세다.

개학에 맞춰 학생 소비자들의 신규 스마트폰 마련 수요를 노린 것이 주효했다는 평이다.

그러나 시장 관찰자들은 향후 몇 분기 동안 재고 조정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였다.

운영 체제 측면에서 애플 iOS는 중국 시장에서 점유율을 15% 수준으로 안정적이었다. 전년 동기와 동일한 수준을 보였다.

안드로이드 시스템의 시장 점유율은 다소 감소하여 1년 전의 72%에서 70%로 낮아졌다.

화웨이의 Harmony OS는 시장 점유율이 전년 동기 13%에서 15%로 크게 상승하였다. 특히 화웨이는 10월에 자사 개발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버전 Harmony OS Next를 출시하였다.

이 시스템은 더 이상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지 않아 화웨이가 운영 체제 분야에서 독립을 향한 또 하나의 진전이라는 평을 받았다.

제조사 간 경쟁에서 vivo는 시장 점유율 19%로 중국 스마트폰 시장 선두 자리를 유지했다. 같은 기간 출하량 1,250만 대, 전년 대비 17%의 성장을 기록하였다. vivo의 안정적인 성과는 iQOO 시리즈의 강력한 수요와 Y 시리즈의 저가 시장에서의 성과, 그리고 X 시리즈의 고급 시장에서의 개선 덕분이다. 또한 vivo는 중국 최대 통신사인 중국 이동통신과의 협력을 강화하여 시장 성장을 더욱 촉진하였다.

그 뒤를 이어 샤오미가 시장 점유율 15%로 2위에 올라 출하량 1,020만 대, 전년 대비 13% 증가를 기록하였고, 이는 4분기 연속 두 자릿수 성장을 달성한 것이다. 샤오미의 성공 요인은 홍미 제품 라인 업데이트와 새로 출시된 K70 및 Note 14 시리즈가 소비자에게 큰 호응을 얻은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아울러 샤오미는 최신 폴더블 시리즈인 Mix Fold 4와 Mix Flip을 출시하여 초고가 시장을 공략하며 제품 라인을 더욱 확장하였다.

OPPO와 원플러스는 합계 출하량 1,020만 대로 샤오미와 함께 2위를 기록하였으나, 전체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하였다. OPPO는 3분기에 제품 라인을 정리하여 중고가 시장에 집중하고 젊은 소비자를 겨냥한 A3 시리즈를 출시하였다. 반면 원플러스는 중국의 온라인 시장에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해 전년 대비 8% 감소를 나타냈다.

4위 자리를 유지한 아너는 출하량 1,000만 대, 전년 대비 11% 감소를 기록하였다. 샤오미와 vivo의 경쟁이 심화되고 부품 비용 압박이 가중되면서 아너의 경쟁력은 다소 약화되었다. 아너는 또한 잠재적 IPO 준비에 착수하고 경영진 교체와 지분 구조 조정을 단행하였다.

애플과 화웨이는 각각 시장 점유율 15%로 공동 5위를 차지하였다. 애플의 이번 분기 iPhone 출하량은 990만 대로 전년 대비 2% 증가하였으며, 이는 iPhone 15 시리즈와 기존 iPhone의 과감한 가격 할인 및 제3자 채널의 적극적인 프로모션 덕분이다. 그러나 지정학적 긴장과 중국 제조사들의 고급 시장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애플의 향후 실적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화웨이는 Mate 60 시리즈의 꾸준한 수요로 성장세를 이어갔으나, Pura 시리즈의 실적은 부진하였고, 새로 출시한 폴더블 기기는 높은 가격과 시장의 전체적인 냉각으로 인해 다소 저조한 성과를 보였다.

 

 


사회

더보기
중국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 315, 중국 소비시장의 최소한의 질적 보장, 노인 소비자 보호 등 2대 가치 내세워 눈길
“중국의 ‘3·15 방송’을 아시나요?” 중국 소비자 목소리를 대변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다. 한국으로 치면 과거 ‘2580’ 등과 같은 형식이다. 기업 제조 과정의 문제점을 심층 취재해 고발한다. 방송의 3·15는 3월 15일을 의미한다. 중국의 소비자 권익의 날이다. 프로그램은 이날 방송된다. 이 프로그램의 타깃이 된 기업은 사실상 경영이 끝났다고 봐야 할 정도로 중국에서는 치명적인 힘을 지니고 있다. 최근 이 방송이 중국 소비관련 두 가지 문제를 짚어 주목된다. 첫째, ‘가성비’는 소비자들의 공통된 요구다.전자상거래 플랫폼과 입점 업체 간의 치열한 경쟁, 그리고 ‘내가 가격을 낮췄다’라는 라이브 커머스의 가격 인하 경쟁이 심화되면서, 많은 상품의 가격이 점점 더 낮아지고 있다. 하지만 ‘품질’은 사정이 다르다. 가격이 지나치게 낮아지면서 기업들의 이윤이 극도로 줄어들자, 일부 업체들은 생존을 위해 품질을 희생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심지어 ‘흑백 양면 전략’을 구사하는 기업도 있다. 대기업 브랜드 제품은 정규 공장에서 생산해 기업 이미지를 구축하는 반면, 중소 유통 경로를 위한 제품은 품질을 무시한 채 생산해 폭리를 취하는 방식이다. 일부 업체들은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