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트럼프 2기 미중관계] 중국, 적극적인 경기 부양이 유일한 대항...미중 관계 나빠질 일만 남았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1일 미국의 대중 관세 인상에 대응해 중국이 추가 재정 부양 조치를 취할 것인지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가설적인 질문에는 답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류펑위 주미 중국대사관 대변인도 미 언론관의 인터뷰에서 “중미 경제 무역 관계의 지속적이고 건전하며 안정적인 발전을 유지하기 위해 중국과 미국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의 미국에 대한 외교정책은 일관된다”는 게 바로 중국 측 입장이다. 서로의 공익을 높이도록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경제적 대응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중국은 미국 선거 기간 중 제14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 12차 회의를 열어 선거 결과에 따라 중국이 다양한 규모의 구제 및 재정 부양책을 펼치기로 했다.

로이터통신은 최근 골드만삭스와 노무라증권 분석가들의 말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되면 중국의 재정 부양책이 현재 계획보다 10~20% 증가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만큼 중국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에 다양한 준비를 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실제 중국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대응하기 이전부터 경기 부양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즉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은 이 같은 정책 노선에 부합할 뿐이라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중국에 대해 어떤 종류의 관세 정책을 취할지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중국의 경기부양정책은 사실 오래 전에 만들어졌다”고 지적한다.

중국의 재정 부양 계획은 주로 국내 소비가 경제를 부양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우려에 기초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미국의 관세 조치로 인해 중국 경제가 더욱 취약해지더라도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이나 미국 행정부의 변화로 인해 중국이 급격한 정책 변화나 조정을 할 가능성은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하지만 현재 미국 선거 결과 트럼트와 공화당은 상하원을 모두 장악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앞으로 거의 방해를 받지 않을 것임을 의미한다. 트럼프는 국제 상황에 비하면 중미 관계는 "아무리 나빠도 상관없다"고 말했을 정도다.

 

트럼프의 전략은 분명히 무역전쟁을 계속하는 것이라는 게 적지 않은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하지만 미국이 더욱 공격적으로 나서면 중국은 더욱 국내 시장에 관심을 갖고 장기적으로 힘을 키우게 될 것이라는 게 미국 내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중국 학계는 물론 심지어 국민들 사이에서도 비슷한 전망이 나온다. 우신보 상하이 푸단대 미국연구센터 소장은 최근 CNN과의 인터뷰에서 "핵심 문제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미 관계를 다루는 방식이 파격적이고 비례감과 경계감이 부족하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중국 인민대학교 국제관계학 교수인 시인홍(Shi Yinhong)도 누가 선거에서 승리하든 미국은 일관적인 입장을 유지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결국 미중 관계는 어떻게 어느 정도 나빠질 것인가가 문제일 뿐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