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5 3차 세계 대전] 유럽에서 독일, 아시아 한중일 삼국 군수 업체 실적 늘어

유럽의 군수업체 실적은 엇갈렸다.

프랑스와 이탈리아와 같은 국가의 매출이 급감한 반면 독일 기업의 매출은 7.5% 증가했다. 세계 100대 군수 기업 중 독일은 총 4개의 무기 제조업체(Rheinmetall, Thyssen Krupp, Hensoldt, Diehl)를 보유하고 있다. 그 중 라인메탈(Rheinmetall)은 세계 26 위에 랭크돼 있다. 독일 최대의 회사다. 지난 2023년 이 회사의 수익은 10% 늘었다.

라인메탈은 주로 155mm 포병탄약, 자주포, 장갑차 등 무기와 장비를 생산하고 있으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이러한 무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디힐(Diehl)은 유도 및 방공 시스템을 생산하는 업체다. 이 회사는 지난 2023년에 30%의 성장을 달성했다.

 

개별 기업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유럽은 지난해 군수기업 매출이 전년대비 0.2% 증가에 그쳐 전 세계에서 군수산업 전체 성장률이 가장 낮은 지역으로 남았다. 성장률이 낮은 주된 이유는 유럽 군산기업의 생산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고, 유럽 국가들의 국방비 지출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미국 역시 비슷한 현상을 보여준다. 다만 그 이유가 주목된다. 미국의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과 RTX(구 레이시온(Raytheon))는 세계 100대 방산업체 중 1,2위를 기록하는 기업들이다. 두 회사 모두 지난 2023년에 매출이 약간 감소했는데, SIPRI는 이것이 항공 및 미사일 제조에 사용되는 특수 부품이나 원자재의 불충분한 공급과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 결국 중국과 공급망 경쟁에 나서면서 미 국방산업이 타격을 입고 있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2023년에는 상대적으로 소규모 제조업체가 대기업보다 더 빠르게 생산량을 늘릴 수 있었다고 연구소는 분석했다. 결국 아시아, 특히 한국과 일본의 군수업체들은 매출을 크게 늘릴 수 있었다는 것이다.

특히 중앙아시아의 전쟁과 함께 지역 긴장 고조가 한국과 일본의 군수업체 특수를 가져왔다는 것이다.

 

특히 일본은 지난 2022년부터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최대 규모의 군비 증강에 나서고 있다. 일본 군수업체들은 자국의 무력강화에 추세에 맞춰 매출을 증대한 것이다. 한국의 경우 유럽 시장 진출에 성공하면서 방산업체들의 매출 증대가 이어졌다. 예컨대 현대 로템(Hyundai Rotem Company)는 폴란드에 탱크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중국 방산기업들의 매출은 매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다만 전반적인 경제 상황 악화로 지난 2023년의 경우 증가 속도가 전년대비 07% 성장에 그쳐 조금 정체된 상태다. 이는 지난 2019년 이후 중국 군수기업의 증가율로 가장 낮은 수치다.

다만 중국의 방산기업 매출은 경제 성장과 함께 다시 늘어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샤오량 연구원은 “군대를 현대화하는 것이 중국 정부와 시진핑의 최우선 과제”라고 지적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