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당국 2025년 내주중심 경제 구축 목표 세워

 

“내수는 경제 성장의 주동력이자 안정적인 버팀목이다.”

시진핑 중국 주석이 "국내 수요를 적극적으로 확대해야 한다", "더 많은 소비 장면을 창출하여 소비와 투자 잠재력을 지속적으로 방출해야 한다"며 이 같이 강조했다.

중국이 본격적인 내수 주도형 경제 제제 구축에 나섰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중앙경제공작회의는 2025년 주요 과제를 배치하면서 국내 수요 확대를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회의는 "소비를 대폭 진작하고 투자 효율을 높이며, 전방위적으로 국내 수요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각 지역과 부처 역시 내수 확대라는 장기 전략을 현실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실천과제 수립에 나섰다.

후지앤성 취안저우에서는 최근 투자 유치 계약 체결 행사가 열렸으며, 총 88개 프로젝트가 계약을 체결했다. 총투자액은 2,600억 위안(약 51조 6,074억 원)을 넘었다. 양자 기술, 스마트 로봇, 바이오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가 포함되어 있었다.

중국 당국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4년, 사회소비재 총판매액은 48조 7895억 위안(약 9,684조 2,278억 원)으로 전년 대비 3.5% 증가했다. 2024년 12월 사회소비재 총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해 11월보다 증가 속도가 0.7%p 빨라졌다.2024년, 연간 고정자산투자(농가 제외) 총액은 51조 4374억 위안(약 1경 209조 8,095억 원)으로 전년 대비 3.2% 증가했다. 가격 요인을 제외하면 실질 성장률은 4.8%에 달했다. 그중 제조업 투자는 전년 대비 9.2% 증가해 전체 투자 증가율보다 6.0%p 높았으며, 투자의 중요한 지지 역할을 했다.

온라인 플랫폼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겨울철 인기 여행 테마 중 "빙설 여행"이 두드러졌으며, 2024년 11월 이후 스키 검색량은 전월 대비 83% 증가했고, 빙설 여행 관련 검색량은 3배 이상 급증했다.

지역에서 대규모 프로젝트 계약 체결과 착공이 잇따랐다. 후지앤성 취안저우는 총 20억 위안(약 3,969억 8,000만 원)을 투자한 남익 진장 국제 반도체 혁신항 프로젝트는 다수의 첨단 기술 기업을 유치 및 육성 중이다.

지난 2024년 10월 착공한 마오슝 바이오기술 프로젝트(투자액은 총 10억 위안=약 1,984억 9,000만 원) 는 완공 후 연간 생산액이 2억 위안(약 396억 9,800만 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사회과학원 재정전략연구원 연구원 이샤오화는 "최근 중국 경제의 개선은 더 강력한 국내 수요가 주도했다. 정책 효과가 경제 순환을 통해 공급 측에 전달되고 있으며, 기업의 신뢰 회복 속도가 빨라지면서 경제 회복을 지속적으로 촉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 315, 중국 소비시장의 최소한의 질적 보장, 노인 소비자 보호 등 2대 가치 내세워 눈길
“중국의 ‘3·15 방송’을 아시나요?” 중국 소비자 목소리를 대변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다. 한국으로 치면 과거 ‘2580’ 등과 같은 형식이다. 기업 제조 과정의 문제점을 심층 취재해 고발한다. 방송의 3·15는 3월 15일을 의미한다. 중국의 소비자 권익의 날이다. 프로그램은 이날 방송된다. 이 프로그램의 타깃이 된 기업은 사실상 경영이 끝났다고 봐야 할 정도로 중국에서는 치명적인 힘을 지니고 있다. 최근 이 방송이 중국 소비관련 두 가지 문제를 짚어 주목된다. 첫째, ‘가성비’는 소비자들의 공통된 요구다.전자상거래 플랫폼과 입점 업체 간의 치열한 경쟁, 그리고 ‘내가 가격을 낮췄다’라는 라이브 커머스의 가격 인하 경쟁이 심화되면서, 많은 상품의 가격이 점점 더 낮아지고 있다. 하지만 ‘품질’은 사정이 다르다. 가격이 지나치게 낮아지면서 기업들의 이윤이 극도로 줄어들자, 일부 업체들은 생존을 위해 품질을 희생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심지어 ‘흑백 양면 전략’을 구사하는 기업도 있다. 대기업 브랜드 제품은 정규 공장에서 생산해 기업 이미지를 구축하는 반면, 중소 유통 경로를 위한 제품은 품질을 무시한 채 생산해 폭리를 취하는 방식이다. 일부 업체들은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