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보이지 않는 수단으로 미국에 보복할 가능성 있어

 

중국이 미·중 무역전쟁에 대한 보복으로 사이버 통제 강화를 통해 중국내 미국기업을 압박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17일 중화권 매체 등에 따르면 익명의 한 전문가는 "·중간 무역긴장 국면이 고조됨에 따라 중국은 워싱턴의관세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보이지 않는 도구'를 쓸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여기서 보이지 않는 도구란 사이버 보안 표준을 말한다.

이 표준은 방화벽이나 소프트웨어에 대해 중국 정부가 내놓은 지침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중국에서 활동하는 외국계 기업들에게 강제적으로 적용된다.

전문가들은 이 표준이 강화되면 외국계 기업들은 비즈니스에 광범위하게 충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중국의 기존 사이버 보안지침이 자국 기업을 보호하는 경향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이다.

6월초 사우스 차이나 모닝포스트(South China Morning Post)는 미중 무역 분쟁이 확대되면서 중국이 미국의 투자제한 등 조치를 통해 미국에 반격을 하고, 심지어 중국기업들에게 미국 기업과 협력을 하지 말 것을 요청할 것이라고 분석가들은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퍼킨스코이(Perkins Coie)의 파트너 제임스 짐머만(James Zimmerman)이 중국기업과 소비자들에게 서비스 및 상품을 포함한 사업채널을 미국으로부터 멀리하도록 지시하는 것과 같이 "비열하고 파괴적인 보복"을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대안은 많다. 베이징의 복수는 기정 사실이다. 트럼프가 끝없는 무역전을 감당할 수 없다는사실을 안 중국이 장기전을 시작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