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시진핑(習近平) 러시아 방문 후, 푸친과 함께 북한 방문할 가능성 높아

 

시진핑(習近平) 러시아 방문 후, 푸친과 함께 북한 방문할 가능성 높아

시진핑 주석의 9 9일 방북설이 돌고 있는 가운데 시 주석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함께 방북 할 가능성도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화권 매체 보쉰은 20일 중국 정가 전문가들을 인용, 이 같이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시 주석의 9월 러시아 방문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직접 확인을 해줬다. 러시아 매체인 스프투니크(sputniknews)의 보도에 따르면 베이징 시간 8 16일 푸틴 대통령은시진핑 주석이 오는 9월 동방경제포럼(Eastern Economic Forum)에 참석하기 위해 블라디보스토크를 방문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15일 푸틴 대통령은 가까운 장래에 김정은과 만나 양자 및 중대한 문제를 논의하기를 바란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중국 정부는 아직 공식 발표를 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이 시기 중국 시 주석의 방북설이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이 같은 점을 고려해 정치 분석가들은 99일 북한 정권수립일은 3국 정상 회담에 좋은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시 주석이 푸틴 대통령과 나란히 방북 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이미 러시아와 북한 양국은 모두 정상회담을 소망하고 있다. 기왕 시 주석이 러시아와 북한을 모두 방문한다면 ‘3자 회담의 가능성도 크다는 게 중화권 매체들의 분석이다.

무엇보다 북중 관계가 완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경제, 내정 및 외교를 강화하려고 노력 중인 북한에게는 중국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앞서 시 주석 방북설은 최근 북한이 811일부터 95일까지국가 차원의 조치라는 이유로 중국 관광단체를 받지 않겠다고 중국에 통보하면서 불거지고 있다.

북한 관광객은 지난 3월 초부터 중국과 북한의 관계가 호전되면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확한 수치는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북한에는 매일 2,000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중국인이다.

이런 관광객 입국 금지 조치 이후 북한은 99일 열병식 전 호텔 보수를 선언하기도 했다.

사실 시 주석 방북을 유추케하는 이상 징후는 이뿐이 아니다. 북한의 《오늘의 조선》사이트는 14일 중국 정부가 랴오닝(遙寧)성 단둥(丹東)지역의 밀수입을 대대적으로 단속했다고 보도했다.

북한 소식통은 810일 최근 몇 주 동안 중국 정부의 밀수입 단속이 계속 증가하고, 신분증을 확인하는 빈도도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에 정통한 소식통은 이 같은 단속 행위는 일반적으로 북^중 고위 관리들의 방문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다.

여기에 중국 외무부의 공식 사이트를 통해 726일 쿵쉬안유(孔鉉佑) 외교부 부부장이 평양에서 이용호 북한 외무상과 회담을 가졌다는 사실이 전해지면서 시 주석의 방북설은 더욱 힘을 얻고 있다. 많은 정치 분석가들은 쿵쉬안유 부부장이 시진핑 주석의 방북을 위한 준비 작업을 해왔다고 믿고 있다.

이미 북한 김정은은 3차례 방중을 했다. 이에 시 주석이 북한 정권수립 70주년이 되는 해에 미중 간 무역전으로 인해 적대감이 높아진 상황에서 시 주석의 화답 방북의 가능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고 보쉰 등 중화권 매체들은 전했다.


 

[이 게시물은 海東周末님에 의해 2018-08-29 19:01:40 消息에서 이동 됨]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