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18년 中 대외투자 1298억 3천만 달러…안정적이고 건전한 발전 유지

 상무부가 16일 발표한 데이터에서 2018년 한 해, 중국 모든 산업의 대외 직접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한 1,298억 3천만 달러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대외 금융류 직접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105.1% 증가한 93억 3천만 달러, 대외 비금융류 직접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0.3% 증가한 1,205억 달러였다.  

 

 한융(韓勇) 상무부 협력사 사장은 2018년 한 해, ‘일대일로(一帶一路: 실크로드 경제벨트 및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연선 56개 국가에 대한 중국 기업의 비금융류 직접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8.9% 증가한 156억 4천만 달러로 같은 시기, 대외 비금융류 직접투자 총금액의 13% 차지했다고 소개했다.  

 

 대외투자 구조로 봤을 때, 대외투자는 주로 임대·비즈니스 서비스업, 제조업, 도매·소매업, 광산개발업 등에 집중되었고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37%, 15.6%, 8.8%와 7.7% 였다. 제3산업에 대한 대외 직접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한 842억 5천만 달러, 총금액의 69.9% 차지했다.

 

 한융 사장은 “부동산업, 스포츠와 엔터테인먼트 분야는 신규 대외투자 프로젝트가 없었고 비이성적인 투자는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고 말했다.   대외투자 방식으로 봤을 때, 기업의 대외투자와 인수합병은 활발했고 해외융자 비중이 높아졌다.   한융 사장은 2018년, 해외 경제무역협력구 건설이 긍정적인 진전을 가져왔다고 소개했다. 2018년 말까지, 확인·심사에 통과한 협력구 입주 기업은 총 933개, 누적 투자금액은 209억 6천만 달러, 투자대상국에 납부한 세금은 22억 8천만 달러, 창출한 일자리는 14만 7천 개로 호혜공영을 실현했다. 그중, 2018년 신규 투자는 25억 달러, 투자대상국에 납부한 세금은 5억 9천만 달러였다.  

 

 보호주의가 대두하고 일부 선진국의 투자 심사 절차가 까다로워진 상황에서 중국 기업의 대외투자 또한 일정한 압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한융 사장은 앞으로 상무부는 ‘일대일로’를 앞세워 대외투자 방식을 혁신하고 중국투자 브랜드를 구축해 중국의 대외투자와 협력이 계속해서 안정적이고 건전하고 질서 있게 발전하도록 추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