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세계적 무기상으로 발돋움 '효자 상품은 드론?'

중국이 무기 수출국 저변을 확대하며 세계적인 '무기상' 대열에 발을 올리고 있다. 

 

지난 11일, 스웨덴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가 발표한 세계 무기거래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2014~2018년 무기 수출량이 과거 5년(2009~2013년)에 비해 2.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지난 5년 동안 총 53개 국가에 무기를 수출했으며 2009~2013년 41개국에 무기 수출을 한 것과 비교할 때 크게 늘어난 셈이다. 반면, 중국의 무기 수입량은 같은 기간 7% 감소했다. 

 

무기 구입 단골 고객은 파키스탄으로 밝혀졌다. 최근 인도와 군사적 충돌을 일으켰던 파키스탄은 1991년부터 중국의 최대 무기 수출 대상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은 미국, 러시아, 프랑스, 독일과 함께 세계 5위 무기 수출국으로 이름 올렸다. 세계 무기 시장에서 5개국이 수출하는 무기 비중은 75% 가량 차지하며, 중국의 세계 무기시장 점유율은 5.2% 정도다. 

 

중국의 무기 수출 효자 역할은 ‘드론’이 차지했다. 13개 국가에 153개 무기용 드론을 수출했는데 이는 세계 1위 무기 수출국인 미국 보다도 앞선 성과로 나타났다. 중국의 드론 수출국은 주로 이집트, 이라크,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연합국(UAE) 등 중동 국가들이었다.

 

난티안 SIPRI 연구원은 "군사용 드론은 중국이 가장 두각을 드러내고 있는 군 기술 발전 결과물"이라며 "중국은 과거 러시아, 우크라이나, 프랑스 등 다른 나라에 무기 개발을 의존했는데, 지금은 노린코(NORINCO), 중국항공공업그룹(AVIC) 등 자국 기업들이 만든 무기를 수출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중국은 군 현대화를 위해 올해 국방예산을 전년 보다 7.5% 증액했다. 금액 면에서는 지난해 1조1100억 위안에서 올해 1조1900억 위안으로 늘어나는 것이다.

 

시진핑 중국 주석은 지난 2017년 '강군몽(强軍夢)'을 내세우면서 2020년까지 군의 기계화와 정보화를 실현하고 2035년까지 군사이론, 군대조직, 군사인력, 무기장비의 현대화를 추진한 뒤 2050년 '세계 일류 군대'를 건설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한 바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