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2019년 소비 상승 곡선 타..."안정적 출발!"

중국 서비스 소비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소비자물가는 안정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중국 상무부 시장운행국 관계자는 “2019년 중국 소비시장은 안정적인 출발을 보이며 올 1분기 안정적인 경제성장의 기반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국가통계국의 자료에 지난 1~2월 중국 사회소비품 소매총액은 6조 6000억 위안(약 1111조 510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대비 8.2% 증가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이는 지난해 12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물가 상승률을 고려한 실질 증가율은 7.1%로 지난해 12월보다 0.5%포인트 높아 안정적인 출발로 해석됐다.

 

이어 이 관계자는 “지난 1~2월 중국 소비시장에 몇몇 특징이 보였다”며 “서비스 소비에 두드러진강세가 나타났다. 춘절(春節•설) 전후로 송년회, 가족모임 등에 따른 소비가 계속 늘어나면서 1~2월 전국 요식업 매출은 7251억 위안을 기록해 전년 대비 9.7% 늘어났다”고 밝혀 놀라움을 자아냈다.

 

중국관광연구원 통계를 살펴보면 춘절 황금 연휴 기간 동안 전국 여행객 수는 4억 명을 돌파해 전년 대비 7.6% 늘어났고, 관광 수입 역시 5139억 위안으로 8.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엔터테인먼트 소비, 정보 소비도 빠른 성장을 보였다. 같은 기간 전국 영화 매표수입은 58억 4000만 위안으로 사상 최고액을 경신했고, 전국 모바일 인터넷 데이터 사용량은 전년 대비 130% 증가해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뒷받침했다.

 

이런 소비시장의 강세는 실물상품 온라인 판매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1~2월 전국 실물상품 온라인 소매판매액은 1조 901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9.5% 증가해, 같은 기간 사회소비품 소매총액 증가율(8.2%)을 11.3%포인트 웃돌았다. 사회소비품 소매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6%포인트 상승해 16.5%로 집계됐다.

 

국가우정국 통계에 따르면 춘절 운송기간(1월 21일~2월 10일) 전국 우편업무 및 택배 배송량은 전년 대비 3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을 바탕으로 소비자 물가는 안정적인 오름세를 보였다. 1~2월 주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대비 0.6%포인트 하락한 1.6%를 기록했다. 상무부 모니터링에 따르면, 1~2월 중국 36개 중•대형 도시의 식용 농산물의 누적 물가는 전년 대비 0.8% 하락했고, 특히 2월에만 1.8% 떨어진 것으로 나타나 8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