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보험사 해외서 성공 자신감 내비쳐...'중국 핀테크 시장 기반'

중국의 보험사들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 자신감을 내비쳤다. 새로운 기술을 접목해 핀테크를 발전시킬 수 있는 중국의 ‘인큐베이터’ 시장을 기반으로 현지화를 접목해 사업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것.

 

20일 글로벌 핀테크 포럼 ‘머니2020 아시아’가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 엑스포&컨벤션 센터에서 열렸다. 본 행사에서 ‘국제적으로 확장하는 중국 기술 거인(The tech giants fromChina, scaling internationally)’라는 주제로 열린 세션에서 웨인 수(Wayne Xu) 중안보험 최고운영책임자(COO)가 참가해 “거대한 중국 시장에서 다양한 핀테크 경험을 쌓은 것이 중국 금융회사의 장점”이라며 “해외 각국에서 파트너십을 맺을 회사를 찾고 있다”고 발표했다.

 

중안보험의 보험료 규모는 60억위안(한화 약 1조원)으로 2013년 설립 이후 연평균 96%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엔 동남아시아의 우버로 불리는 그랩과 함께 동남아 디지털 보험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중국 보험사들은 중국은 13억명에 달하는 인구를 보유한 데다 규제가 약해 다양한 핀테크 실험에 나설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 이야기했다.

 

조나단 라르센 핑안그룹 최고정보책임자(CIO)는 “중국은 새로운 기술을 육성할 수 있는 세계에서 가장 큰 ‘인큐베이터’”라고 힘주어 말했다. 중국의 경우 핀테크와 같은 미래 산업만큼은 규제를 대폭 낮추고 있어 지체 없이 새로운 시도가 가능하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었다.

 

실제로 얼마 전 중안보험은 텐센트와의 협업을 통해 혈당 수치에 따라 보험료를 조절해 주는 당뇨 전문 보험상품을 선보였다. 고객이 측정한 혈당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위챗을 통해 공유하고 의사와 상담할 수도 있도록 해 편의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수 COO는 핀테크를 접목한 인슈테크(Insu-tech)의 발전 가능성이 높다고 이야기했다. 그는 “보험은 오프라인 채널, 페이먼트 등 다양한 경로와 접점을 갖고 있다”며 “현지 시장의 특성에 따라 사업이 바뀔 수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의 성공 경험을 기반으로 하되 현지화에도 공을 들여 중국의 ‘보험 굴기’를 이끌어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반면 국내의 경우 이 같은 건강증진형 보험의 개발이 더딘 실정이다.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