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스마트폰 시장, 게이밍폰 돌풍 일으키나

중국업체가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즐기는 게이머를 겨냥해 스마트폰을 잇달아 출시하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는 최근 게이밍 스마트폰 '블랙샤크2'를 중국 시장에 출시했다.

 

블랙샤크2는 최신 퀄컴 스냅드래곤 855와 최대 12GB 램, 256GB 저장용량을 갖췄다. 6.39인치 아몰레드 디스플레이에 HDR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스펙을 갖췄다.

 

게임을 즐기는 게이머를 겨냥해 게임에 적합한 사양을 갖췄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게임에 좀 더 몰입할 수 있도록 전면 스테레오 사운드 효과를 내는 듀얼 스피커와 3개의 게임용 마이크를 탑재했다. 또한 게임 내 움직임, 타격 등이 있을 때 진동을 주는 효과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디바이스 발열을 막기 위해 수냉식 쿨링 시스템도 포함됐다. 가격은 3천200위안(약 54만원)으로 알려졌다.

 

ZTE의 스마트폰 브랜드 누비아도 뒤이어 다음 달 중으로 게이밍폰 '레드 매직 3'을 내놓는다고 발표했다. 관계자에 따르면 해당 제품은 퀄컴 스냅드래곤 855 프로세서와 12GB 램을 달고 '웬만한 게이밍 PC보다 높은 주사율'을 지원할 것이라 전해 기대를 높였다. 미국 업체 레이저가 작년 120㎐ 주사율을 갖춘 게이밍폰 '레이저폰2'를 출시한 이후 처음이다. 레드 매직 3에는 4D 진동 모터와 함께 5천mAh 이상의 배터리가 탑재될 예정이다.

 

앞서 이달 초 중국 비보도 신규 브랜드 '아이쿠(iQOO)'를 게이밍폰 시장에 내놓았다. 비보 아이쿠는 6.41인치 아몰레드 디스플레이에 퀄컴 스냅드래곤 855 프로세서, 최대 12GB 램, 256GB 저장용량, 4천mAh 배터리를 탑재했다. 비보는 조만간 이 게이밍폰을 인도를 비롯한 해외 시장에도 출시할 계획이다. 가격은 5천위안(약 84만원) 수준이다.

 

중국 업체들이 고급 사양에 상대적으로 저렴한 게이밍폰을 잇달아 내놓으면서 삼성전자도 중저가폰에 게이밍 경험을 강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삼성전자 관계자는 "별도의 게이밍폰 브랜드를 준비하고 있지는 않다"며 "게이밍 성능이 갤럭시A90의 여러 특장점 중 하나로 소개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