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K-패션, 중국 시장 돌파구 찾아나선다

 

국내 패션업체들이 틈새 영역 중심으로 중국 시장을 다시 공략하기 위해 돌파구를 찾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패션시장 규모는 2017년 대비 0.2% 감소한 42조4300억원을 기록한 반면 중국 패션시장은 점점 커지고 있어 이를 노리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맥킨지앤드컴퍼니와 비즈니스오브패션이 글로벌 패션업체 대표 27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올해 중국 패션시장이 미국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패션업체들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사태와 마케팅 전략 실패 등으로 중국 시장에서 실패를 겪은 바 있다. 이후 이를 바탕으로 아동복, 스트리트웨어, 캐주얼웨어 등 이제 막 중국에서 인기를 끌기 시작하는 틈새시장을 공략 중에 있다.

 

특히 중국 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아동복 업체들이 선전하고 있다. 그 예 중 하나가 한세드림의 `모이몰른`이다. 이 브랜드는 2014년 브랜드 론칭을 한국과 중국에서 동시에 진행한 바 있다. 해당 브랜드는 처음부터 중국을 핵심 지역으로 잡을 계획이었다. 그동안 빨강, 노랑 등 원색 위주였던 중국 유아동복 시장에서 희소한 북유럽 감성을 선보인 것이 통했다. 현재 209개인 중국 매장을 연내에 270개로 확대하고 매출도 지난해 310억원에서 올해 400억원까지 끌어올릴 계획으로 알려졌다.

 

패션그룹형지의 교복 브랜드 `형지엘리트` 역시 2016년 중국의 대표적 의류 기업 간 거래(B2B) 기업 바오시냐오와 합작해 `상해엘리트`를 설립하고 중국 진출에 나섰다.

 

중국 교복은 원래 `트레이닝복` 스타일이 대다수였으나 중산층 소득 수준이 올라가면서 사립학교에서나 입는 영국풍 정장 교복이 늘고 있다. 형지엘리트는 국내 최대 교복 브랜드임을 강조해 `프리미엄` 영국풍 정장 교복으로 중국에서 입지를 넓혔다. 지난해에는 지역별·학교별 소득 수준을 고려해 중저가 브랜드를 신규 론칭해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 지난해 중국 교복 수주량도 전년 대비 2.7배가량 신장했다. 급팽창하고 있는 중국 교복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은 것.

 

중국에서 인기를 끌기 시작한 `스트리트 패션`을 내세운 K패션 업체도 다수 등장했다.

 

디스커버리, MLB 등으로 국내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진 에프앤에프는 최근 중국 소재 계열사 에프앤에프상하이를 인수하고 중국 진출을 확정 지었다. 중국 공식 론칭으로 MLB 특유의 스트리트 감성을 담은 의류와 신발을 선보일 계획이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의 대표 캐주얼 의류 브랜드 `스튜디오 톰보이`도 4월 1일 베이징 백화점에 첫 매장을 열 것이라 밝혔다. 이 브랜드는 전자상거래 그룹 알리바바가 올해 1순위로 점 찍어둔 중국에 수입해야 할 의류 브랜드로 꼽혔다. 이미 이랜드는 중국에서 패션으로 연매출 2조원을 기록했다. 이랜드월드는 이에 더해 주얼리 시장을 겨냥해 나섰는데 지난해 로이드, OST, 라템, 클루 등 주얼리 부문을 이월드로 이관하고 본격적인 중국 진출을 예고했다.

 

이랜드 관계자는 "중국 주얼리시장 성장가능성이 크고, 아직 주얼리를 공략한 한국 업체들이 많지 않다"며 "빠르면 연내 중국 티몰 등 이커머스를 통해 진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중국 패션시장은 리스크가 높아 진출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세드림의 모태 브랜드 `컬리수`는 2010년 중국에 진출했으나 현지 마케팅 전략에 실패해 지난해 조용히 중국 매장을 철수한 적이 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