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공업기업 1-2월 이익 최대폭 감소 '3년 만에 마이너스'

중국의 공업기업들의 이익이 올해 최대폭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세계 공장’ 중국 제조업의 수익성 악화는 일자리 리스크를 키울지 모른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7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2월 중국 공업기업 이익은 총 7080억위안(약 118조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4.0% 하락했다. 직전 발표된 작년 12월 공업기업 이익 증가율은 -1.9%였는데 감소 폭이 커진 것.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관련 통계가 있는 2011년 10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공업이익이 감소했다. ‘세계 공장’을 이끈 중국 제조업의 수익성을 보여주는 월간 공업기업 이익은 작년 11월 전년 동월 대비 1.8% 감소해 3년여 만에 마이너스를 보였다.

 

국가통계국은 "춘제(春節·설) 연휴 요인을 제외하면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약간 줄었다"며 우려를 일축시켰다. “작년 1~2월에 비해 올해 춘제 연휴가 공업기업에 미치는 영향 주기가 더 길었다”고 현상에 대해 해명했다.

 

중국 당국의 해명에도 지난해 28년만에 가장 낮은 6.6% 성장에 머문 중국 경제의 하강 압력이 새해 들어서도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중국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온 국유기업의 실적이 나빠지고 있는 것이 주된 분석 요인으로 보이고 있다. 연간 매출 2000만위안(약 33억원) 이상 공업기업을 상대로 한 이번 조사에서 국유 공업기업의 이익은 24.2% 감소해 외자 공업기업(-14.5%)과 민영 공업기업(-5.8%)에 비해 뚜렷한 위축 현상을 보이고 있다.

 

국유 공업기업의 이익 증가율은 2015년 마이너스 21.9%로 저점을 찍은 뒤 급반등해 2017년엔 45.1%까지 치솟았지만 지난해 12.6%로 급격히 둔화된 데 이어 다시 마이너스를 보인 바 있다.

 

중국 재정부가 앞서 지난 25일 발표한 ‘전체’ 국유기업 실적에서도 1~2월 이익 증가율은 25.3%에서 10%로 절반 이하 수준을 나타냈다. 국유기업 매출은 8조 7052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에 머물렀다. 증가율이 지난해 동기의 11.2%에 비해 절반 수준밖에 못 미친 것.

 

국유기업의 실적 악화는 ‘미중 무역전쟁의 타격에 더 노출된 민영기업 부문에서 먼저 나타난 경기하강 압력이 중국 전체로 번지고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따.

 

지난 2월말 발표된 국가통계국의 2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동향에 따르면 경기확장 국면에 있는 대기업의 제조업 PMI는 2월에 51.5%로 전달보다 0.2%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기업에는 국유기업이 집중돼 있다. 반면 민영기업이 대부분인 중기업과 소기업의 PMI는 각각 46.9%와 45.3%로 전달에 이어 동반 하락세를 보였다.

 

공업기업과 특히 국유기업의 실적 악화는 중국 정부가 올해 최우선 거시정책으로 올려놓은 고용안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국유기업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중국의 일자리 유지 버팀목 역할을 해왔지만 최근 들어 고용인력 역시도 줄고 있는 상황.

 

1997년 1억 1040만명에 달했던 국유기업 고용인력은 국유기업 개혁과 2001년 세계무역기구(WTO)가입이후 민영기업 발전 등의 여파로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6420만명으로 하락했다. 당시 국유기업 중심의 경기 부양책에 힘입어 국유기업 고용 인력은 2012년 6839만명까지 늘었지만 이후 다시 감소세를 나타냈다.

 

국유기업은 2017년말 기준 6063만명을 고용하고 있다. 중국은 올해 전체 신규 일자리 창출 목표를 작년과 같은 1100만개로 설정했다. 지난해에는 1361만개의 새 일자리가 창출됐다.

 

2월 중국의 도시 조사 실업률은 5.3%로 작년 12월 4.9%, 올 1월 5.1%에 이어 계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억제 목표치 5.5%보다는 낮지만 2017년 2월 이후 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