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스타트업, 기술 부재로 성장 한계 부딪혀...'10년 이내 90% 사라질 것'

 

중국 스타트업 기업들이 거대한 중국 시장과 손쉬운 자금 유치를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했지만 혁신 기술의 부재로 인해 성장 한계에 부딪혔다는 전망이 나왔다.

 

1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데이터 제공업체 프레친의 집계 결과 지난해 중국, 대만, 홍콩, 마카오 등에서 이뤄진 벤처 투자가 1천70억 달러에 달할 정도로 중화권 벤처 투자는 성공적이었다.

 

지난해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 벤처 투자 10건 가운데 7건이 중화권 기업에 대한 투자로 나타났다.

 

중국 알리바바 그룹 계열 금융회사인 앤트파이낸셜의 경우 지난해 싱가포르 GIC, 테마섹, 말레이시아 국부펀드 등에서 무려 140억 달러에 달하는 투자금을 유치한 것으로 알려져 화제였다.

 

하지만 중국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붐이 이어질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빠른 성장세가 한계에 도달했다는 지적이 바로 그것이다.

 

중국 상하이 투자기업 DT캐피탈의 조 톈 파트너는 "중국에는 너무나 많은 자본이 있지만, 현실을 바라보면 5∼10년 이내에 중국 스타트업의 90%가 사라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중국 스타트업들이 혁신 기술을 보유하지 못한 채 중국이라는 거대한 시장과 넘쳐나는 자본에만 기대어 성장했고 이제 한계에 맞닥뜨렸다는 것이다.

 

미국, 이스라엘 등 뛰어난 혁신 기술을 가진 외국 스타트업과 달리, 중국 스타트업들은 온라인 결제에서 자전거 공유 사업에 이르기까지 대부분 스마트폰 앱에 의존하는 비슷비슷한 비즈니스 모델을 지녔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중국의 경제성장 속도가 둔화해 벤처 투자가 줄어들 경우 혁신 기술이 없는 중국 스타트업은 위험에 직면해있으며, 실제로 도산하는 사례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중국의 자전거 공유업체 오포는 22억 달러에 달하는 자금을 끌어들여 세계 곳곳으로 확장했지만, 결국 수익성 확보에 실패하고 호주, 오스트리아, 체코, 독일, 인도, 이스라엘 등 각국에서 철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자전거 공유업체 모바이크 역시 싱가포르 시장에서 철수하는 등 경영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온라인 부동산 매물 정보 제공업체 아이우지우는 3억 달러의 투자 유치에도 불구하고 올해 초 영업을 중단하고 청산 절차를 밟고 있으며, 다른 부동산정보업체 핑안팡닷컴도 지난 1월 서비스를 중단했다.

 

중국 최대의 차량 공유업체 디디추싱도 지난해 막대한 손실을 기록했으며, 온라인 대출업체 모다이 등 핀테크 분야의 도산도 이어졌다.

 

SCMP는 "중국의 자본은 너무 많았지만, 좋은 아이디어는 너무 적었다"며 "유사한 아이디어에 투자금이 한꺼번에 몰려 상당수 투자금은 이제 회수할 수 없는 처지"라고 비판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