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인민해방군 5개 부대 베이징서 지방으로 이전...'시진핑의 군 개혁'

중국이 인민해방군(PLA) 5개 군 본부를 수도 베이징에서 지방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 중에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방안은 시진핑 국가 주석이 주도하는 고강도 군 개혁의 일환으로 보인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17일 복수의 인민해방군 소식통은 중국군 지도부가 5개 군 본부를 베이징에서 지방의 2∼3선 도시로 재배치하는 방안을 추진 중에 있다고 전했다.

 

이번 방안으로 추진되는 5개 군 본부의 지방 재배치는 약 10년 정도의 기간이 소요될 예정이다. 이 같은 계획은 2015년 무렵 검토됐지만 약 2년 뒤에야 확실히 결정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한 소식통은 “지상군(육군), 해군, 공군, 로켓군, 전략지원군 등 5개 군 본부가 모두 재배치 대상에 포함”이라면서 “재배치는 5개 군 본부의 지휘부 이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군의 군사 영도기관인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중앙군사위)는 재배치 대상에서 제외된다. 따라서 중앙군사위원회는 베이징의 ‘8·1 빌딩’에 그대로 머물 예정이다.

 

중국 인민해방군의 통수권자인 시 주석은 중앙군사위 주석을 겸하고 있다.

 

중국군 지도부는 5개 본부 지방 재비치가 인민해방군 내 정실주의와 족벌주의를 완화하고 군의 전투태세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군 본부 재배치는 시 주석의 군 개혁 핵심 목표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 주석은 집권 후 지상군 7개 군구를 5대 전구로 개편하고 제2포병 부대를 대신하는 로켓군과 전자, 정보, 우주작전을 수행하는 전략지원군을 신설하는 등 강도 높은 군 개혁을 실시하고 있다. 시 주석은 지난 3월 12일 제13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임대) 제2차 회의에 참석한 인민해방군과 무장경찰부대 대표단 전체회의에 출석해 2020년까지 강군 건설을 실현하라고 지시했다.

 

퇴역한 한 해군 소식통은 해군 본부를 지방의 해안 도시로 이전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검토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소식통은 “군 지도부는 탈(脫)중앙집권적 재배치가 군 지휘관 및 장교들이 전투훈련에 초점을 맞추고, 상사들에 대한 로비활동을 줄이는 데 효과적일 것이라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본부 재배치에는 베이징의 환경과 교통문제를 완화하고 2∼3선 도시의 발전을 촉진하려는 의도도 숨어져 있다. 중국은 통상적으로 도시의 경제 수준과 인구 밀집도에 따라 도시를 1, 2, 3, 4선 도시로 나누고 있다. 1선 도시는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톈진, 선전 등 거대도시를 지칭하며, 2선 도시는 항저우, 난징, 청두 등 규모가 큰 성급 도시나 둥관 등 대도시를 나타낸다. 3선 도시는 정저우, 시안 등 규모가 2선 도시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성급 도시나 중간 규모의 도시를 이야기한다.

 

하지만 5개 군 본부의 지방 재배치 계획은 베이징을 떠나기 싫어하는 일부 장교들의 반발에 부딪힐 수 있다고 SCMP는 보도했다.

 

한 퇴역 장교는 “예를 들면, 몇몇 장교의 배우자들은 베이징에 직장을 갖고 있고, 자녀도 그곳에서 학교에 재학 중이다”라며 “베이징은 전국에서 교육과 의료 자원이 가장 풍부하며, 중국의 3선 도시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현대적 시설을 갖춘 도시”라고 지적했다.

 

마카오에서 활동하는 군사 평론가인 앤서니 웡은 인민해방군의 일부 간부급 장교들이 시 주석의 군 개혁에 압박을 느끼고 있다고 지적한 뒤 “군 본부의 재배치 계획이 이들의 불만을 더욱 증폭시킬 수 있다”고 비판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