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화웨이,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세계 1위 오르나

화웨이가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2위인 애플을 제치고 세계 1위에 올라있는 삼성전자 추격에 빠른 속도를 보이고 있다.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중국 화웨이의 거센 돌진이 무섭다. 화웨이는 올해 1분기 스마트폰 출하량에서 세계 2위였던 애플을 제쳤으며, 세계 1위인 삼성전자를 턱 밑까지 추격 중에 있다. 하지만 혁신 부재의 영향으로 소비자 교체 주기가 늘어나 스마트폰 전체 시장 규모는 줄어들었다.

 

1일 1분기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7180만 대를 출하해 점유율 21.7%로 1위를 가까스로 지켰다고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는 밝혔다. 삼성전자의 출하량은 지난해 1분기 7820만대에 비하면 640만대(8%)가 줄어든 수치를 보이고 있다. SA는 "삼성전자의 갤럭시S10이 3월 초 출시한 이후 전작인 갤럭시 S9보다는 늘어난 판매량을 보이지만 중저가 시장에서의 경쟁이 심해지며 판매량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화웨이는 1분기에 5910만대를 출하해 점유율 17%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출하량 3930만대보다 1980만대(50%)가 늘어난 수치로 업계는 긴장했다. 애플의 점유율은 지난해 1분기 15.1%에서 올해는 13%로 소폭 감소했다. 애플은 1분기에 4310만대를 출하했고, 지난해 5220만대보다 18%가 감소한 것.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4~5위도 중국 샤오미와 오포가 차지했다. 샤오미는 지난해 8.2%에서 올해는 8.3%로, 오포도 7%에서 7.7%로 점유율을 각각 올랐다. 화웨이부터 오포까지 합친 중국 주요 업체의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1분기 22.6%에서 올해는 33%로 늘어났다.

 

SA는 "화웨이가 중국, 서유럽과 아프리카에서 활약하며 애플을 뛰어넘고 삼성과의 차이를 빠르게 좁히고 있다”고 설명했다. 화웨이는 미·중 무역전쟁으로 미국 시장에서의 스마트폰 판매에 어려움을 겪은 후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P3와 P30을 프랑스에서 3월에 발표하며 유럽 시장에 힘을 쏟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