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BC카드 QR결제 중국서도 사용 가능

중국에서도 한국에서 사용하던 QR결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BC카드는 8일 서초동 본사에서 'BC 유니온페이카드 해외 QR결제' 개통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BC카드 이문환 사장과 이강혁 사업인프라부문장, 유니온페이 인터내셔널(UPI) 차이지앤뽀(蔡剑波) CEO가 자리를 함께했다.

 

이제 스마트폰을 가진 BC 유니온페이카드 고객은 한국에서 사용하던 BC 페이북(paybooc)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에서 유니온페이 해외결제 설정만 활성화하면 중국에서 QR결제 이용이 가능하다.

 

양 사는 고객이 생성한 QR코드를 스캔하는 CPM 방식을 우선 제공한 뒤 향후 가맹점 QR코드를 인식하는 MPM 방식을 도입할 예정이다.

 

이문환 BC카드 사장은 "앞으로 BC카드 고객이 중국은 물론 다양한 국가에서 디지털 결제 플랫폼을 통해 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한편 BC카드는 이번 'BC 유니온페이카드 해외 QR결제' 서비스 출시를 기념해 캐시백 및 경품 이벤트도 열었다. 오는 8일부터 6월 30일까지 중국에서 'BC 유니온페이카드 해외 QR결제'로 100위안(약 1만7000원) 이상 결제 시 2000원, 200위안(약 3만4000원) 이상 결제 시 5000원 청구 할인 혜택을 총 10회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C카드는 "환전수수료를 줄일 수 있으며, 현금을 사용하면서 발생했던 계산 착오, 잔돈 보관 문제 등에서 자유로워질 것을 기대한다"고 전했다.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