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홍콩, 파견근로자 생활비용 세계 4위

아슈하바트 가장 높고 제네바, 취리히 뒤따라
파견근로자들이 구매하는 소비재·서비스 조사

 

홍콩이 전 세계 파견근로자 생활비용이 4번째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홍콩은 2018년 조사에서는 11위를 기록했지만 홍콩달러 등의 강세 영향으로 올해 7계단이나 뛰어 올랐다.

13일 홍콩의 성도일보가 보도한 인적자원관리고문기구(ECA International)의 '생활비용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파견근로자 생활비용이 가장 높은 도시는 투르크메니스탄의 수도 아슈하바트로 조사됐다. 제네바와 취리히, 홍콩이 그 뒤를 이었다.

 

아태지역에서는 아슈하바트, 홍콩, 도쿄, 서울, 상하이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홍콩과 상하이, 도쿄, 서울, 싱가포르, 스위스, 뉴욕, 런던, 시드니 등 전 세계 482개 도시의 파견근로자들이 일반적으로 구매하는 같은 종류의 소비재와 서비스에 대해 조사를 하고, 주택 임대료와 수도료, 자녀 교육비는 제외됐다.

 

홍콩은 2018년 조사에서 11위를 기록했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4위로 올랐다. ECA International 아시아 지역 감독 관례렴은 “홍콩은 지난 1년간 도쿄와 상하이, 서울을 포함한 다른 아태 지역보다 높은 인플레이션과 홍콩달러의 강세로 근로자 생활비용이 크게 늘었다”고 분석했다.

 

 

아태지역은 홍콩이 2위, 아슈하바드가 마찬가지로 1위이다. 도쿄, 서울 및 상하이가 각 3위, 4위, 5위로 이어졌다.

 

관련 연구는 2019년 3월에 전개되어 2018년 3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전년도 동기대비 변동을 반영되었다. 연구는 전 세계 482개 넘는 장소, 홍콩, 상하이, 도쿄, 서울, 싱가포르, 스위스, 뉴욕, 런던, 시드니 등 포함하는 도시의 파견근로자들이 일반적으로 구매하는 동 종류 소비재 및 서비스에 대해 조사를 하였고, 주택 임대, 수도료 및 자녀 교육비는 연구에서 제외 되였다.

 

ECA International 아시아 지역 감독관례렴은 지난 1년간,홍콩 달러의 강세와 높은 인플레로 홍콩의 재외직 근로자 생활비용 순위를 5위 안에 상승시켰다고 하였다.

 

또한 관레렴은 지난 12개월 동안 홍콩은 도쿄, 상하이와 서울 포함한 다른 아태 지역보다 물가 상승폭이 높으며, 더불어 홍콩 달러가 다른 아태지역 보다 강세가 지속하면서 홍콩로 하여금 파견근로자의 생활비용이 2번째로 높은 아태 지역 도시로 떠올랐다고 더붙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