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1,2위 조선업체 합병 공식화...'세계 조선시장 움찔'

"눈에는 눈, 이에는 이, 합병에는 합병?"

 

중국 1,2위 조선업체 중국선박중공업집단(CSIC)과 중국선박공업집단(CSSC)가 합병 추진을 공식화해 세계 조선시장이 모두 긴장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 조선 시장은 우리나라가 기술적 우위로 부동의 1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최근 중국이 선박 제조 수주에서 1위를 빼앗아가는 등 위협적인 성장을 하고있는 상황이다.

 

두 조선업체는 합병설이 지속적으로 흘러나왔으나, 세계 1,2위 조선업체인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올해 1월 합병 추진 소식이 중국 두 조선업체의 합병을 더욱 촉진시켰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3일 중국신문망 등 중국내륙 매체와 다유 등 중화권 매체들에 따르면 지난 1일 중국선박중공과 중국선박공업계열의 상장사 8곳이  일제히 공시를 통해 모기업의 합병 추진 사실을 공표했다. 발표한 날은 두 그룹이 설립된 지 20주년으로 더욱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이들은 아직 정부 부처 비준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선박중공과 중국선박공업의 합병이 성사될 경우, 세계 2위 규모의 조선업체가 탄생하는 것이다. 이들 회사의 지난해 수주잔량을 합친 규모는 전 세계 시장의 13%를 점유하는 크기다. 또한 두 회사의 지난해 합친 매출과 이익은 각각 744억 달러, 11억 달러로 집계됐다.

 

원래 중국 선박공업총공사로 한 기업이었으나, 1999년 거대 국유기업들을 해체해 경쟁 구도로 만든다는 중국 정부의 정책에 따라 분할된 이후 20년 만에 다시 합병한다는 결정이 내려진 것이다. 국유 기업의 경쟁 구도보다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시킨다는 차원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궈진증권에 의하면 CSSC는 선박 건조에 특화되어 있으며, CSIC의 경우 28개 연구소를 가지고 있어 설계에 집중해 합병 이후 첨단기술 선박 개발과 해외시장 개척에 큰 이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된다.

 

한편 두 기업의 만남은 해군 함정과 같은 군수 부문에서도 경쟁력 제고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