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터키산 체리, 중국 상륙

전 세계 생산량 1위…미국산과 치열한 경쟁할 듯

터키산 체리가 중국에 상륙했다. 터키의 체리 생산량은 세계 1위인데, 중미 무역전쟁으로 미국산과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17일 제1재경에 따르면 최근 터키의 이즈미르에서 온 체리 환영회가 상하이에서 열렸다. 터키는 전 세계 체리의 주요 산지이다. 2017년 체리시즌의 경우 터키산 체리 48만t, 미국 38만t, 이란 20만t이다. 반면 중국 소비자들에게 잘 알려진 칠레 체리 생산량은 전 세계 6위(9만t)에 불과하다.

 

중국이 앞으로 몇 년 동안 터키 체리의 최대 수출시장이 될 수 있다는 터키 언론의 전망이 나왔다.

 

중국 세관 집계 결과 2018년 체리 수입량은 18만6000t으로 전년 대비 약 183% 증가했고, 가치는 13억달러를 넘어 전년 대비 170% 가까이 증가해 중국 과일 수입품 중 가장 많았다.

 

현재 중국은 칠레, 미국,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터키 등 8개국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그 중에 칠레, 미국산 체리가 가장 흔하다.

 

매년 11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는 칠레, 뉴질랜드 등의 체리가 판매 성수기이고, 3~5월에는 산동, 랴오닝의 국산 체리가 판매되고 있으며, 6~8월에는 주로 미국, 캐나다 체리가 중국소비시장을 지배한다.

 

터키에서 수입되는 체리는 매년 5~7월 중국 소비자들을 만난다. 이는 미국 체리의 중국 판매량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특히 중미 무역 관계가 긴장되는 시점에 더욱 그렇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