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샤오미·오포·비보, 반 화웨이 동맹 맺어

플랫폼 장벽 허물어 소비자에게 더 나은 서비스 제공할 듯

중국의 휴대전화 사업자인 샤오미와 오포(OPPO), 비보(vivo)의 반 화웨이 동맹을 맺어 귀추가 주목된다.

중국 화윈왕(华云网)은 21일 "3강의 동맹은 시장에서 '반(反)화웨이 동맹'으로 해석돼 '3영전 여포(三英战吕布)'의 징후를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것은 한때 잘나갔던 '반(反)아리(Alibaba) 연대'를 연상시킨다.

 

일반적으로, 강하거나 일탈절진의 과두에 직면하면 동맹을 맺음으로써 서로의 항타력을 증가시킬 수밖에 없다. 샤오미와 오포, 비보의 동맹은 바로 여기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18년 4분기 화웨이가 중국 시장의 29%를 차지하며 절대 시장 1위를 지켰고, 2위 오포가 19.6%를 차지했으며, 비보가 18.9%의 점유율을 기록해 5위를 차지한 샤오미는 10%의 점유율로 애플에 뒤졌다.

 

한편 데이터 리서치 업체 칸타(Kantar)가 발표한 2019년 2분기 전 세계 휴대전화 판매량 통계에 따르면 아너(honor)를 합병 이후 화웨이의 2분기 중국시장 핸드폰 점유율은 46.1%로 50%를 눈앞에 두고 있다.

 

시장에서는 반 화웨이 동맹이라고 하지만 빅2는 이를 부인하고 있다. 3개 기업은 고객 경험을 높이기 위해 플랫폼 장벽을 허물고 모바일 다이렉트 패스트 익스체인지(Mobile Direct Fast Exchange)를 전송 기준으로 상호접속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이에 따라 3대 브랜드의 휴대 전화 사이의 파일 전송과 데이터 이동은 ‘일촉즉달’로, 조작이 빠르고, 전송이 빠르며, 제삼자 애플리케이션이 필요 없다.

 

신문은 “3개 업체 모두 열린 마음으로 더 많은 업체의 참여를 환영하고, 보다 효율적이고 휴대 가능한 모바일 기기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보도했다.

 

문제는 왜 화웨이를 빼 놓느냐는 점이다. 사실상 이런 '함께 껴안아 추위를 이기(抱团取暖)'은 현상은 비즈니스에서 드문 일이 아니다. 그동안 화웨이와 오포, 비보, 메이주(Meizu) 등의 제조업자들은 '경핵연합'을 결성했는데 샤오미는 여기서 빠졌다. 2018년 7월 비보와 오포, 메이디, TCL, 그랜드 Imou, 코보스, 양광조명, 지미테크놀러지 등 여러 하드웨어 제조업체들이 IoT 개방 생태 컨소시엄을 출범시켰지만 샤오미와 화웨이는 여기서도 빠졌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