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알리바바 중국 이용자 9억6000만명 돌파

장용 이사회 의장 “알라바바 새로운 소비 수요 창출”

장용(张勇) 알리바바 이사회 의장 겸 최고경영자는 24일 '2019년 알리바바 글로벌 투자자의 날 대회'에서 알리바바의 중국 사용자가 9억6000만명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소비는 5년째 중국 경제성장의 제1 견인차가 되고 있다. 올 상반기 국내총생산 성장에  최종 소비지출의 기여율은 60.1%다. 14억명에 가까운 방대한 시장과 4억명의 중위소득층은 중국 소비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데 밑바탕이 된다.

장 의장은 "알리바바 플랫폼 서비스는 중국 소비자의 일상생활의 모든 측면에서 중국 소비자의 전반적인 수요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새로운 소비 수요를 창출한다"며 "높은 품질의 온 오프라인 재화를 제공하며, '알리 디지털 생태계(阿里巴巴数字经济体)'도 현지 생활서비스, 문화오락 등 풍부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중국 시장의 소비 품질과 구조를 업그레이드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 의장은 '알리 디지털 생태계' 이용자들의 강력한 성장과 사람-물건-장소의 지속적인 혁신,  멀티 플랫폼 간의 강력한 시너지가 소비자들에게 더 큰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