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세계 5대 무기 수출국 부상

기술 발달하면 국제시장서 러시아제 밀어낼 듯

중국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군사비를 지출하고 있으며 주요 무기 수출국이 되고 있다고 코리아 헤럴드가 27일 보도했다.
  아시아 주요 무기 수입국들은 미국과의 관계 등 다중 정치적 이유로 중국산 무기 수입에 소극적이지만 머지않아 중국산 무기가 러시아제 무기를 대체할 가능성이 높다. 
  2019년 3월 발간된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 5년간 러시아 미국 프랑스 독일과 함께 세계 최대의 무기 수출국 중 하나로 부상했다. 이들 5개국의 무기 수출량은 전 세계 무기 수출량의 4분의 3을 차지한다. 2007년 이후 파키스탄은 중국에서 무기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나라가 됐고 방글라데시와 미얀마가 뒤를 이었다. 이는 중국의 '일대일로(一带一路)' 전략 중 일부라고 CNBC는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무기 수출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미국 싱크탱크인 랜드(RAND) 티모시 힐스(Timothy Health) 선임 연구원은 “중국이 대외적으로 무기 수출을 확대할 가능성이 높은 것은 주요 수출국에 대한 안전보장을 높일 뿐 아니라, 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나 힐스 연구원은 '일대일로' 전략에 참여한 국가 외에 다른 나라들이 중국으로부터의 무기 수입을 꺼리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중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중국산 무기 수입은 각국의 미국과의 외교관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에 따라 인도와 호주, 한국, 베트남 등 주요 무기 수입국들이 정치적 이유로 중국 무기를 구매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코리아 헤럴드는 중국의 무기 개발 기술이 계속 발전하고 중국의 무기장비 품질이 향상되면 러시아 방위산업이 위축되면서 국제시장에서 중국의 무기 제조업체들이 러시아의 지위를 대신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