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우즈베키스탄, 내년 중국관광객 비자 면제

우즈베키스탄은 내년부터 중국 관광객들에게 비자 면제를 시행한다.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은 2020년 1월 1일부터 홍콩 특별행정구를 포함한 중국 관광객들이 우즈벡의 국제공항을 통해 심사 없이 입국할 수 있도록 하는 대통령령에 서명했다.
         
 7400여 곳의 문화유산을 갖춘 우즈베키스탄은 내년에 비자 면제가 본격화되면 중국인 관광객의 중앙아시아 관광 붐에 합류할 것으로 보인다.
옛 실크로드의 중요한 교통 허브이자 비즈니스 허브인 우즈베키스탄은 2019년 전 세계에서 꼭 가야 할 '52개 관광명소' 차트뿐만 아니라 론리 플래닛(Lonely Planet) 2018 아시아 최고 여행지 순위 2위에 오르기도 했다. 
 우즈베키스탄은 지난해부터 여러 차례 중국 비자에 호의적이었다. 2018년 7월 15일 2 영업일에 전자서명을 신청할 수 있는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우즈베키스탄의 비자 발급 절차가 올해 2월까지 간소화된 것도 이 때문이다. 중국 관광객 수가 크게 늘었다. 
유명 예약판매업체에 따르면 올 상반기 우즈베키스탄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4% 늘었다. 연중 봄과 가을이 성수기인 만큼 관광객 수치는 최고 수준이다. 
        
'아라비아 나이트'라는 소설이 우즈베키스탄에 신비성을 더하고 있으며, 타목아 제국의 역사적 유물은 여전히 세월 속에서 빛을 발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