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페이팔이, 페북 리브라 연합 탈퇴

佛獨중앙은행 반대로 비자, 마스터카드도 철회 검토


 영국의 로이터통신은 지난 4일 페이팔이 페이스북이 이끄는 디지털 통화 리브라(Libra)에서 탈퇴하겠다는 성명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페이팔은 리브라 프로젝트를 공개적으로 지원한 최초의 회사 중 하나였다. 


리브라 협회는 여러 기술 기업과 금융 기업, 그리고 비영리 조직들로 구성된 그룹이다. 스위스 제2의 도시인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리브라는 페이스북이 주관한 디지털 통화 리브라를 전 세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페이팔이 이 그룹을 탈퇴하기 전까지 연대에는 모두 28개 회사가 멤버로 참여했다.
리브라 멤버 탈퇴는 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달 초 프랑스와 독일이 리브라의 유럽 내 유통을 막겠다고 발표한 것과 동시에 비자(Visa)와 마스터카드(MasterCard)도 앞으로 리브라 사업 참여 여부를 재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페이스북은 지난 6월 18일 리브라협회를 구성해 암호화된 디지털 통화 프로그램 백서를 발표했다. 페이스북은 전 세계 수십억 명이 이용할 수 있는 간단하고 국경이 없는 화폐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지만, 일부 국가의 중앙은행들이 자국의 디지털 화폐를 만들려는 계획에 갈등을 빚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