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佛무역은행 “위안화 7.45로 평가절하” 전망

미중 무역협상 불완전한 완전…中 경기 침체도 원인

중국은 위안화를 세계 통화로 키우려고 하지만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미국은 중국이 환율을 조작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고, 중국은 어불성설이라고 맞서고 있다. 이 때문에 위안화의 환율이 불안하다. 미중 무역전쟁이 휴전에 들어갔지만 연말 위안화 평가절상 전망이 나온다.

 

프랑스계 무역은행(Natixis)은 "미중 간 1단계 무역협정 체결로 위안화 시세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일단 완화됐지만, 위안화 시장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냉냉하기만 하다. 미중 간 완전한 합의와 거리가 멀고, 중국의 경제 상황을 감안할 때 위안화는 연말에 7.25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12개월 동안은 7.45로 더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미중 긴장이 다소 완화된 것이 위안화 평가절하 압력을 반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전했다. 우선, 이 잠정 합의는 실제적인 세부 사항이 없고, 잠정적인 휴전에 가깝다. 더 중요한 것은 중국 경제가 주기적 및 구조적 이유로 계속 감속하고 있어 통화 강세를 뒷받침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런 배경에서 중국 정책입안자들은 효과가 좋지 않은 재정과 통화정책의 현실을 직시하고 있으며 이는 외환정책을 통한 경제 부양의 상대적 중요성을 증가시켰다. 중국 경제의 현주소로는 전면적인 무역협정이 성사되더라도 위안화 절상을 감당하기 어려운데, 더구나 실질적인 합의는 없다는 얘기다.

 

미중은 11일(지난 금요일) 지적재산권, 금융서비스, 대종농산물조달 등의 분야에서 1단계 실질 무역협정을 체결했다. 미국이 당초 15일 발효하기로 했던 대중(對中) 관세 인상은 일단 연기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2월 발효되는 관세 조치에 대해 아직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