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멍뉴, 호주 분유업체 인수

호주 우익 “중국에 자산 팔았다” 비판도

 

중국업체가 호주 분유업체를 인수하자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우익정당과 보수 언론은 “중국에 기업을 빼앗겼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호주 외자투자심사청은 15일 중국분유기업 멍뉴(蒙牛乳业)가 호주분유기업 벨라미(Bellamy's)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조쉬 프라이덴베르그(Josh Frydenberg) 호주재정부장관은 이날 “호주외국투자심사위는 중국멍뉴주식유한공사가 14억3000만호주달러(약 9억8000만달러)의 가격으로 벨라미를 인수하는데 만장일치로 찬성했다”며 “이는 국가이익과 충돌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거래는 벨라미의 인력 충원으로 신규 고용을 늘릴 수 있고, 국내 시장 확장과 해외수출 기회를 늘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더 오스트레일리안'(The Australian)은 "이 거래는 여러 중요한 조건을 갖추었다"며 "예를 들어 '벨라미 이사의 다수가 호주 시민이어야 한다', '본사는 최소 10년 간 호주에 있어야 한다', '빅토리아주에 1200만호주달러(약 800만달러)를 투자해 분유가공설비를 건설해야 된다' 등이 포함된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번 거래에 대해 강력 반발하고 있다. 호주 우익 정당 '단일민족당' 폴린 핸슨(Pauline Hanson)은 "이 거래에 대해 분노한다"며 "사람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다"고 말했다.

 

핸슨은 이어 "우리 정부는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분유업체를 중국인한테 빼앗긴 것을 방임하고, 이것은 우리국가에 대해 무슨 의미를 갖는지 생각하지 않다"고 말했다.

 

바나비 조이스(Barnaby Joyce) 호주국가당 전 대표도 또 중국인한테 자산을 판 것을 보고 “실망스럽다”고 표했다.

 

'호주금융비평보'는 '이 거래는 호·중관계를 완화시킬 것이다'라는 글에서 "벨라미가 지금 호주에서 시장점유율이 4위를 차지하고 있어 이번 인수가 국가안전에 대해 아무 위협이 없다"며 "국내 오가닉 영유아 분유 공급부족의 위험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고, 베이징 측에 정치호감도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영국 로이터는 "벨라미의 주가가 이날 2.1%(13.22호주달러) 상승해, 올해 7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