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로봇, 노동력 5% 대체

향후 5년간 학력 낮은 근로 인력 대체

로봇과 기계가 인간의 노동력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중국에서 향후 5년간 노동력의 5%를 로봇과 기계가 대신하면서 실업률이 치솟아 사회 불안요소로 작용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중졸이하 근로자의 9.4%를 로봇이 대신하면서 단순 노동력자들에 대한 전직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우한대학교(武汉大学) 질량발전전략연구원(质量发展战略研究院)은 향후 5년 동안 기계와 로봇이 중국의 거의 5%에 달하는 근로자들을 대체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환구망(环球网)는 25일 “미국의 GitHub 웹사이트를 보면 로봇을 사용한 업체가 2008년의 약 12%에서 2017년에는 37%로 증가했다”며 “2015년부터 2017년까지만 해도 로봇을 사용하는 업체의 비중이 8.1%에서 13.4%로 높아졌다”고 보도했다.

 

환구망은 로봇 사용률 상승이 교육 수준이 가장 낮은 근로자에게 주로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2년 동안 중졸 이하 학력 근로자의 9.4%를 로봇이 대신하지만, 대학 학력을 가진 근로자들에 대한 수요는 3.6% 상승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제로봇연합회는 중국이 전 세계 자동화 분야의 리더가 되었다고 말한다.

국가가 기술발전으로 탈락한 노동자들을 어떻게 돌봐야 할지 고려해야 된다. 이상적인 경우는 그들은 재교육을 받아 자동화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관련 업무에 종사해야 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