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미, ‘플라스틱 소고기’ 1만5700파운드 회수

중국 소고기 수입량 많지만 문제 제품 수입 안돼

돼지고기만 찾던 중국인이 소고기 맛을 알게 되면서 미국을 넘어 세계 최대 소고기 수입국이 됐다. 최근 미국에서 ‘플라스틱 소고기’ 스캔들이 터지면서 식품 불안이 커지고 있지만 중국에 수입되는 소고기는 안전하다는 평가다.

 

 

최근 몇 년 사이 중국 경제의 발전과 중국인의 소비수준이 높아지면서 쇠고기 소비량과 수입량은 어마어마하게 높아졌다.

 

공식 통계에 따르면 2019년 11월 현재 중국의 쇠고기 수입량은 147만2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79.3% 증가했다. 호주 언론은 지난해 8월부터 중국은 미국을 넘어 세계 최대 쇠고기 수입국이 됐다고 보도했다.

 

중국 산업 정보망의 보고에 따르면, 미래의 중국 쇠고기 소비량은 100만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가 증가할 것이라고 한다. 중국의 막대한 쇠고기 수요는 전 세계 주요 쇠고기 수출국에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일본와 호주, 브라질, 미국 등 다 중국 수출 시장에 진입하고 싶다.

 

최근 미국 육류업계에서 품질 스캔들이 터졌다. 어드밴스피어 식품회사의 소고기 제품에서 녹색 플라스틱 부스러기가 발견됐다. 이 문제 된 제품이 포장돼 미국의 일부 학교로 판매된 것으로도 밝혔다.

 

미국 농무부 식품안전검사국(FSIS)은 조사를 통해 "이 소고기 제품에 녹색 플라스틱 부스러기를 포함할 수 있다"고 발표하면서 어드밴스피어 제품 1만5700파운드를 회수했다.

 

현재 중국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량이 적다. 2018년 기준으로 미국에서 수입된 쇠고기는 6971톤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미국의 '플라스틱 쇠고기'가 중국에 들어올 확률이 크지 않다고 보인다. 또 티몰과 징둥 등 중국 온라인 플랫폼에서는 아직 판매 사실을 발견하지 못했다. 그러므로 미국의 '플라스틱 쇠고기'가 중국에 유입됐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


사회

더보기
장관이대에서 고농현허까지 사자성어로 본 중국 AI 조작 광고 사기행각
“‘장관이대’(張冠李戴) 광고 사기 수법을 아시나요?” 중국 매체가 AI조작을 통한 사기판매 행각을 사자성어로 정리해 눈길을 끈다. 대표적인 성어는 ‘장관이대’(張冠李戴)다. 본래 뜻은 장씨의 관모를 이씨가 쓰고 있다는 의미다. 흔히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 자리를 앉아 권한을 행사할 때 쓴다. 또는 일은 장씨가 하는 데 생색은 이씨가 낸다는 의미도 있다. AI 조작 사기에서는 유명 연예인이 광고한 적 없는 데 AI로 조작해 유명 연예인이 모델로 나서 광고하는 브랜드인양 속이는 것을 말한다.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는 광고의 제품에 대해 일반인들은 제품이 하자가 있거나, 사기일 것이라는 생각을 못하기 때문에 이용되는 수법이다. 가장 보편화된 AI 조작 광고 수법이다. 이 보다 한층 심각한 범죄가 ‘무중생유’(無中生有) 수법이다. 성어 의미는 완전한 거짓이라는 뜻이다. 없는 곳에서 물건을 있다고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AI 조작 사기광고에서는 단순히 모델로만 유명 연예인을 AI 조작해 등장하도록 하는 게 아니라, 더 나아가 마치 없는 할인 행사를 하는 듯 광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속이는 것이다. 할인 혜택이 있는 예약 구매를 유도하는 듯한 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