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공연계 신종코로나에 직격탄…티켓도 '폭탄세일', 그래도 판매 부진

일부 뮤지컬 60% 넘게 세일…예매 취소도 잇달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 확산에 공연계가 직격탄을 맞았다.

감염 공포 탓에 공연 자체가 취소되고 예매 취소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정상가의 50%가 넘는 염가 표들이 난무하고 있다.

 

4일 공연계에 따르면 정상가 13만원인 뮤지컬 '빅 피쉬'의 R석(30매)은 이날 현재 5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빅 피쉬는 오는 8일 예술의전당에서 공연된다. 무려 62% 싼 ‘폭탄세일’인 것이다.

 

현재 예술의 전당 사이트에서는 지난달 31일부터 이 가격의 판매 안내를 하고 있다.

공연기획사와 예술의전당 측은 이번 세일이 신종코로나 탓은 아니라는 입장이지만 정상가에 잘 팔리는 공연이 폭탄 세일을 할 일은 없는 것이다.

 

폭탄세일 공연은 이 뿐만이 아니다.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의 실내악 공연도 반값에 나왔다. 이 연주회는 오는 13일 예술의 전당에서 진행된다.

 

 

 

문화 소비자들이 기존 구매했던 표를 취소하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오는 14~15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예정된 서울시향의 '부활' 공연은 이미 완판됐었지만, 최근 예매됐던 표들의 취소가 잇따르고 있다. 이미 40석 가까이 취소가 진행됐다.

이 공연은 오스코 벤스케 음악감독의 취임 공연이어서 화제를 모았던 것이다.

 

공연이 취소되는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 보스턴 심포니의 첫 내한 공연이 취소됐다. 서울시향의 '퇴근길 콘서트', KBS교향악단의 '토요타 자선 병원 콘서트' 등도 취소되거나 무기한 미뤄졌다.

 

홍콩필하모닉의 공연의 예매율도 낮은 편이다. 홍콩필하모닉은 지난해 그라모폰의 '올해 오케스트라'에 선정돼 공연 자체가 주목받았다. 여기에 얍 판 즈베덴이라는 거장급 지휘자가 지휘를 맡아 호사가들이 공연 날만 손꼽기도 했다.

 

(박정연 기자·연합뉴스/해동주말 제휴사)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