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화웨이, 러시아서 판매 1위

삼성 2위, 애플 4위…샤오미·비보도 판매량 확대

 화웨이 등 중국 휴대폰 업체들이 러시아에서 판매량을 늘리고 있다. 삼성이 그동안 시장을 독주했지만 꾸준한 연구개발과 마케팅, 가성비를 내세워 상위 5개 업체 가운데 중국 업체가 3개에 달했다.

 

 최근 2년간 중국 휴대폰 브랜드가 급성장하면서 중국 국내 사용자들은 물론 해외 사용자들에게도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 유명한 시장 조사 기관인 Canalys는 2019년 4분기 러시아 휴대폰 시장 점유율에 대한 조사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이 차트를 보면 판매량 상위 5개 가운데 중국 휴대전화 업체가 3석을 차지했다.

 

 시장점유율에 보면 1위는 화웨이 차지해 29%를 달했다. 삼성이 20%로 2위를 차지하고 그 뒤 샤오미가 18%로 3위 , 애플이 13%로 4위, 비보는 4%로 5위에 올랐다.

 

 차트를 보면 화웨이는 러시아인이 가장 선호하는 브랜드로 전년 동기 대비 21%나 증가했다. 삼성은 그동안 러시아 시장에서 독주했지만, 화웨이가 꾸준한 노력과 투자로 현지 소비자들의 인정을 받고 있다. 또한 화웨이는 현재 러시아에 연구개발센터를 여러 개 두고 있으며 현지에서 더 많은 인재를 유치할 계획이다.

 

 2위인 삼성은 2019년 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28%의 고속 성장을 했다. 세계 1위 휴대폰 업체지만 최근 2년간 중국산 휴대폰이 계속 발전하면서 압박감을 느낀 삼성은 이미 인도와 동남아, 러시아 등에서 점유율을 잃고 있다.

 

 3위를 차지하고 있는 샤오미는 4분기 러시아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53% 성장했다. 샤오미는 지난해 중국 시장에서 판매량이 다소 줄었지만 샤오미가 여전히 해외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인도와 러시아 같은 신흥시장의 경우 샤오미가 가성비가 높있기 때문에 애플, 삼성보다 경쟁력이 더 크다.

 

 미국 휴대전화 업계 1위인 애플은 4위에 그쳐 시장 점유율이 전년 대비 4% 하락했다. 지난해 애플이 발표한 아이폰11 시리즈는 5G 네트워크를 지원하지 않아 창의력이 부족한 데다 가격까지 비싸 애플의 점유율 하락 주요 요인이 되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