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코로나 19충격에 중국 '사실상 기준금리' 0.10%P 인하

1년 만기 LPR 4.05%…인민은행 "방역 관련 부문 대출 지원 강화"

 

중국이 사실상 기준금리를 0.10%포인트 낮췄다.

코로나 19 타격에 대응하는 조치다.

전 세계가 유동성 확대에 나서는 모습이다.

중국 인민은행이 20일 대출우대금리(LPR)를 0.10%포인트 인하했다.

중국에서 LPR은 기준금리 역할을 한다.

중국의 LPR 인하는 지난 11월 이후 석 달 만이다. 코로나 타격이 커지자, 중국 당국이 발빠르게 대응하고 나선 것이다.

이번 조치로 인민은행은 이날 1년 만기 LPR가 4.05%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달보다 0.10%포인트 내린 수치다.

5년 만기 LPR는 4.75%를 기록, 전월대비 0.05%포인트 내렸다.

중국 LPR은 지난해 8월부터 제도를 도입해 매달 20일 고지한다. LPR은 18개 은행이 보고한 최우량 고객 대출 금리의 평균치다.

인민은행의 공식 1년 만기 대출 기준금리는 4.35%로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은행 등 금융사는 LPR를 대출 업무 기준으로 삼는다. 기준금리보다 더 실질적인 기준 금리 역할을 한다.

중국은 기준금리 조정대신 이 LPR을 통화조절을 하는 보조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LPR 제도 도입으로 중국은 실질 기준금리가 0.30%포인트 내린 것이라고 경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번 인하 조치는 시장 기대에 부합한 것이다.

인민은행은 지난 17일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대출 금리도 0.10%포인트 내렸다. 이에 MLF는 기존의 3.25%에서 3.15%로 떨어졌다.

MLF 대출 금리는 LPR 금리의 보조 역할을 한다.

중국은 거의 모든 수단을 동원 코로나에 대응하고 있다. 당초 중국 경제는 미중 무역갈등이 완화하면서 6.0% 수준을 무난히 달성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지난해 중국은 6.1% 성장했다.

하지만 코로나 충격이 예상보다 커 이 같은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 올해 경제성장률이 5% 밑으로 내려갈 수 있다는 관측마저 나오고 있다.

 

이에 인민은행은 "통화정책 도구를 더욱더 다양하고 정교하게 움직여 코로나19 방역 관련 부문 및 지방에 대한 대출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며 "보다 대담하게 통화 정책의 유연성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언제든 유동성 확대에 나서겠다는 의미다.

 

(박정연기자·상하이=연합뉴스/해동주말 제휴사)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