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영국, 의료진 부주의로 아이 숨진 채 태어나

英 여성, 병원 상대로 과실 소송 제기

 영국 한 임산부가 의료진의 부주의로 사산아를 출산해 조사에 들어갔다. 조산 경험이 있는 이 여성은 임신 중 아이의 활동이 없는 것을 의료진에게 3번 말했지만, 의료진은 이를 무시해 결국 아이가 숨진 채 태어났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다.

 

 미러는 20일 의료진의 부주의로 그림스비의 다이애나 왕세자비병원에서 죽은 아이를 출산한 스테파니 브로들리(28) 사례를 자세히 보도했다.

 

 스테파니와 30살 남편 리는 5명의 아이가 있다. 10살의 로건, 8살의 맥스, 7살의 테일러, 5살의 라일라, 3살의 테디가 있지만, 그녀의 다섯 아이 중 두 명이 조산아여서 그녀의 임신 위험이 높았다.

 

 바우어가 태어나기 전 스테파니는 세 번이나 조산사에게 아이의 활동을 느끼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그런데 조산사들은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심장 모니터링을 늘리지 않았고 스테파니가 피를 너무 많이 흘려 얼굴이 하얗게 질려도 의사를 부르지도 않았다. 조산사가 모든 게 잘 될 거라고 계속 말했고 모든 게 정상이라고 말했다.

 

 아들 바우어가 사망한 후 스테파니는 이 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의료과실 전문가인 허겔 (Hudgell) 변호사에게 연락했다. 한 조산사는 스테파니가 36주만에 출산했을 때 병원 직원들이 그녀의 위험을 낮게 봤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병원은 그녀에게 집에서 아이를 낳도록 유도했다.

 

 스테파니는 바이러스 예방 항생제를 복용하지 않았고, 요구대로 혈액검사를 하지도 않았다. 이번 조사를 통해 밝혀진 제일 큰 문제는 산부가 출산 전 산부 건강에 대한 제대로 평가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