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해외 중국인들, 中 코로나19 원격 진료 플랫폼 접속 급증

코로나19가 세계로 확산되는 가운데, 중국 IT 기업들이 제공 중인 온라인 원격 무료 진료를 이용하려는 해외 거주 중국인들이 증가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2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코로나19가 세계로 확산되면서 해외 거주 중인 중국인들이 온라인 건강 관리 플랫폼에 의지 중"이라고 보도했다. 해외 거주 중국인들이 코로나19 감염을 확인하기 위해 해당 시스템으로 몰려드는 것이다.

 

무료 원격 진료 서비스를 첫번째로 공급한 기업은 알리바바 헬스다. 알리바바 그룹의 헬스케어 플랫폼으로, 알리페이와 함께 지난 8일부터 해당 서비스를 제공했다.


알리바바 헬스가 무료 원격 진료 서비스를 중국에 더해 해외 중국인에게도 제공하기 시작한 것은 이탈리아·일본 주재 중국 대사관의 권유에 의한 것으로 전해진다. 알리바바 헬스는 해당 서비스를 해외에서 이용한 이들이 24일 일주일 새 약 3배 늘어 수십만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바이두 역시 자사 건강관리 플랫폼 '원이셩'을 통해 해외에 거주 중인 중국인들에게 무료 의료자문을 제공 중이다. 23일 지금까지 해당 서비스를 이용한 해외 거주 중국인은 약 25만명에 달했다. 코로나19가 발생한 뒤로 중국 내 이용자는 약 3200만명을 기록했다.


지난 20일 JD 헬스도 해외 이용자 약 5만명에게 온라인으로 의료 자문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JD 헬스는 전자상거래 업체 징둥의 건강관리 플랫폼이다.


이정연/연합뉴스/해동주말 제휴사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