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시진핑, 미중 신냉전 속 '돈 과시' 수입박람회 또 나설 듯

"중국, 시진핑 참가 방침 시사"…미 대선 맞물려 활용도 높아져

 

미중 갈등이 신냉전 수준으로 비화했다는 평가마저 나오는 가운데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막강한 구매력을 앞세워 세계 여러 나라를 줄 세우는 성격이 짙은 중국국제수입박람회(CIIE)를 3년 연속 주관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9일 중국 외교가에 따르면 중국 정부 관계자들은 최근 자국 주재 타국 외교관들과 접촉하면서 올해 11월 개최될 수입박람회에 시 주석이 참석할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하면서 적극적인 참여를 권하고 있다.

 

한 외교 소식통은 "작년에는 행사 개최 시점이 가까워질 때까지 시 주석이 참석할 것인지 언질을 주지 않았지만 올해는 벌써 시 주석 참석 방침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다"며 "지금 분위기로는 3년 연속 시 주석이 수입박람회를 주관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밝혔다.

중국은 미중 무역전쟁이 발발한 2018년 자국의 구매력을 과시하는 한편, 미국의 대중 포위망을 약화하고 우군을 결집하는 '세몰이 외교' 무대로서 국제수입박람회를 고안해냈다.

 

2018년과 2019년 1∼2회 수입박람회 때 중국은 각각 578억 달러와 711억 달러에 달하는 막대한 규모의 구매 계약이 체결됐다고 주장한 바 있다.

 

중국에서는 대형 국가 행사의 경우 권력 서열 1∼2위인 국가주석과 총리가 한 해씩 번갈아 가며 주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2회 중국국제수입박람회 중국관

외교가에서는 미중 갈등이 날로 첨예해지면서 수입박람회의 전략적 활용 가치가 높아져 시 주석의 '연속 등판' 가능성이 한층 커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올해 수입박람회는 11월 5일부터 10일까지 엿새간 상하이에서 진행된다. 마침 11월 3일 치러지는 미국 대통령 선거 직후라는 점에서 누가 당선되든 간에 시 주석이 공개적으로 대미 메시지를 발신하기에 최적의 장소가 될 수 있다.

 

신종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중국 주도의 보아오(博鰲)포럼이 취소되는 등 중국 내 대형 외교 행사가 대부분 못 열리면서 수입박람회는 올해 중국의 거의 유일한 대형 외교 행사가 될 가능성이 커졌다.

 

리 총리가 5월 전국인민대표대회 정부 업무보고에서 "올해 수입박람회 행사를 잘 준비해 개최한다"고 따로 언급할 정도로 중국은 3회 수입박람회의 정상적 개최에 강한 의지를 보인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이 이어지면서 올해 수입박람회 행사 개최가 불가능하게 되거나 행사 규모가 온라인을 중심으로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중국의 코로나19 확산세가 완연히 꺾인 상황이지만 세계 주요국에서는 코로나19 확산이 지속 중이다.

 

현재 외국인 입국을 사실상 전면 금지 중인 중국이 예년과 같이 최대 수만 명에 달할 외국 기업 및 정부 관계자들이 참석하는 대형 행사를 치를 수 있을 것인지 의문을 갖는 이들도 있다.

 

다른 외교 소식통은 "시 주석의 수입박람회 참석 가능성을 높게 보고는 있지만 자국 내부 행사인 양회와 달리 많은 외부 인사들을 초청한 수입박람회를 예년처럼 치르기는 어려운 면도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상하이=연합뉴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