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전문가들 "이태원 집단감염 교훈"…접촉자 추적 강조

 

중국 전문가들이 서울 이태원에서 일어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집단감염을 놓고 한국이 너무 일찍 통제 조치를 풀었다고 지적했다.

 

14일 중국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베이징대의 보건 전문가인 저우즈쥔은 "바, 클럽, 영화관 같은 오락 시설은 보통 사람이 밀집하고 바이러스가 쉽게 퍼질 수 있기 때문에 너무 일찍 열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시설에 대한 제한이 풀리더라도 모든 이용자를 추적할 수 있도록 강력한 조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잔추(楊占秋) 우한대학 교수는 "일부 이용자는 바 같은 곳에 들어갈 때 진짜 전화번호를 적지 않기 때문에 추적하기 힘들다"면서 "중국은 추적, 특히 건강 QR코드(정보무늬) 도입에서 잘하고 있다. 버스나 지하철에서 스마트폰의 QR코드를 스캔하면 모든 사람의 건강과 여행 정보를 추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타임스는 동성애자들이 찾는 몇몇 클럽을 포함해 이태원 지역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했으며 클럽 고객들이 자신이 동성애자라는 사실이 알려질까 봐 걱정해 서울시가 익명 검사를 도입했다는 외신 보도를 인용해 전했다.

 

우한대학의 양 교수는 "중국은 한국의 환자 급증을 주의 깊게 봐야 한다. 이런 일이 국내에서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이 지역사회 감염을 통제하고 감염이 의심되는 사람을 추적하기 위해 건강 QR 코드를 적극적으로 사용할 것을 주문했다. 또한 바이러스 검사 능력을 지속해서 향상하면서 백신 개발 노력도 계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베이징 연합뉴스/한중21 제휴사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