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대표술 '마오타이' 중국시총 1위 이어 삼성전자도 넘어서

김정은도 선물받은 '중국의 국주'…내수성장 기대감에 훨훨

 

중국을 대표하는 술인 마오타이(茅台)를 만드는 주류 회사인 구이저우마오타이(貴州茅台)의 주가가 고공행진을 거듭해 시가총액이 세계적 기술기업인 한국의 삼성전자까지 넘어섰다.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상하이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구이저우마오타이 주가가 전날 사상 최고가인 1천323.01위안까지 오르면서 시가총액이 1조6천745억 위안(약 289조원)을 기록했다.

 

삼성전자의 전날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이보다 낮은 286조원이었다.

 

중국 증시 시총 1위 기업인 구이저우마오타이는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봉쇄가 본격적으로 풀린 지난 3월부터 내수 회복 기대감에 힘입어 20% 이상 폭등했다.

중국 서남방 구이저우성에서 생산되는 마오타이는 중국을 대표하는 고급 백주로 중국 소비자들로부터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양조에서 숙성 단계에 이르기까지 마오타이 제조에 짧게는 수년에서 길게는 수십 년 이상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공급량이 높은 수요를 따라잡지 못해 상품 가격이 계속 치솟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제품인 500㎖, 53도짜리 페이톈(飛天) 마오타이는 전자상거래 업체 징둥에서 한 병에 2천800 위안(약 48만원)에 팔리고 있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집권한 2012년 직후 강력한 반부패 운동이 펼쳐지고 마오타이가 사치와 향락의 대명사처럼 인식되면서 구이저우마오타이의 성장세에 한때 급제동이 걸리기도 했다.

 

당시 부패 혐의로 처벌된 구쥔산(谷俊山) 전 인민해방군 총후근부(總後勤部) 부부장의 집에서 마오타이 1만병 이상이 발견돼 시 주석이 진노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

하지만 이후 중국 경제 성장에 따라 내수 시장이 지속해서 커지면서 마오타이의 인기는 다시 빠르게 회복됐고 2017년에는 조니워커 브랜드를 가진 디아지오를 넘어 세계 최고 주류 회사로 등극했다.

 

또 작년엔 주가가 거의 배로 폭등하면서 세계 시총 1위 은행인 공상은행을 제치고 중국 시총 1위 기업으로 올라섰다.

 

 

시 주석 집권기 마오타이는 외교 무대에도 자주 등장하면서 '국주'(國酒) 이미지도 단단히 굳혔다.

 

지난 2018년 3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방중했을 때 양국 정상의 만찬장에는 한 병당 2억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진 희귀 마오타이가 등장해 화제가 됐다.

 

당시 시 주석은 별도로 김 위원장에게 1980년 이전에 생산된 희귀 마오타이주 여러 병을 선물하기도 했다.

 

시 주석과 마잉주(馬英九) 당시 대만 총통이 양안 분단 후 최초로 대면한 2018년 5월 싱가포르 회동 때 만찬 테이블에는 각각 중국과 대만을 대표하는 마오타이와 진먼고량주가 올랐다.

 

높은 인기에 힘입어 구이저우마오타이는 다른 기업들과 비교할 수 없는 매우 높은 수익률을 올리고 있다.

 

구이저우마오타이의 작년 매출액은 888억 위안, 순이익은 412억 위안으로 순이익률이 50%에 육박했다.

 

상하이 연합뉴스/한중21 제휴사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