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美 국채'까지 번진 미중 갈등…상환 거부·매각론 등 나와

미국 내 '국채 상환 거부론'에 中 전 관료 "거부하면 달러제국 붕괴" / "中, 美 국채 매도로 미국에 압박 가해야" 주장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후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한층 격해진 가운데 갈등의 전선이 미국 국채로까지 번지는 양상이다.

 

미국이 중국 정부가 보유한 자국 국채 상환을 거부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자 중국 전직 관료가 강하게 반발했으며, 일부에서는 중국이 미국 국채를 매각해 미국 정부에 압력을 넣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7일 신랑(新浪)재경 등에 따르면 충칭(重慶)직할시 시장을 지낸 황치판(黃奇帆) 중국 국제경제교류센터 부이사장은 "미국은 미국 국채를 가진 세계 다른 나라에 채무 상환 의무를 지고 있고 신용은 신성한 것"이라며 "만일 미국이 국채 상환을 하지 않는다면 미국의 신용이 먼저 파산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근 일부 미국 언론은 미국 정부의 고위 당국자들이 중국에 코로나19 책임을 묻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면서 중국이 보유한 미국 국채 상환 거부도 논의 대상에 포함됐다고 보도했다.

 

1조달러 이상의 미국 국채를 가진 중국은 일본에 이어 세계 2위의 미국 국채 보유국이다.

 

다만 미국에서도 특정 국가가 보유한 미국 국채 상환을 거부하는 것은 미국 정부와 달러화의 위상에 큰 타격을 가할 수 있다는 우려가 매우 큰 편이다.

 

래리 커들로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지난 1일(현지시간) CNBC 인터뷰에서 중국에 책임을 묻겠다는 방침을 밝히면서도 '미국 국채 상환 거부' 방안에 대해선 "미국채 상환 의무의 신용은 절대적으로 신성불가침한 영역"이라고 일축했다.

 

중국은 꾸준히 세계적으로 최우량 안전 자산으로 여겨지는 미국 국채 보유량을 줄이고 황금 등 대체 투자를 늘리는 추세다.

 

인민은행은 연초 "점진적이고 신중하게 (외화 보유액) 운용을 다원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는데 시장에서는 이를 미국 국채 보유 축소 방침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했다.

 

중국 내에서는 미국 내 '국채 상환 거부론'에 경고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중국 정부가 보유한 미국 국채를 점진적으로 매각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전했다.

 

중국이 실제로 미국 국채 보유량을 줄이면 코로나19 이후 대규모 재정부양책을 펴면서 부채를 늘리고 있는 미국 정부에 큰 압박이 될 수 있으며, 미국 정부가 국채를 '무기화'하는 것도 피할 수 있다.

 

중국이 미국 국채를 대규모로 매도하면 달러 가치가 급락할 수 있으며, 이자율 상승 등으로 미국 정부의 자금 조달 비용이 크게 높아질 수 있다.

 

하지만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촉발할 수 있어 중국으로서도 별로 현실적인 선택지는 아니라는 것이 중론이다.

 

ING은행의 아이리스 팡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국채의 대규모 매도는 쉬운 일이 아니지만, 중국이 자신의 의지를 분명하게 보여주기 위해 향후 수개월 동안 신규 국채 매입을 중단할 수는 있다"며 "이는 장기적으로 실질적인 매각의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이 기존에 보유한 미국 국채는 만기가 계속 돌아오기 때문에, 새로운 국채 매입으로 이를 보충하지 않으면 중국의 국채 보유량이 점차 줄어들 수 있다는 얘기이다.

 

실제로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고는 지난 2013년 11월 1조3천200억 달러의 정점을 지나 올해 2월에는 1조900억 달러까지 낮아졌다.

 

중국 외환보유액에서 미국 달러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도 2005년 79%에서 2014년 58%로 낮아졌으며, 현재는 3조 달러 규모의 중국 외환보유액 중 3분의 1가량을 미국 국채가 차지하고 있다.

 

SCMP는 "중국 내에서는 미국에 대한 보복으로 미국 정부를 고소하는 방안, 향후 2년간 미국산 상품과 서비스의 2천억달러어치 추가 구매 약속을 지키지 않는 방안,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줄이거나 보복 관세를 검토하는 방안 등 다양한 방안이 거론되고 있지만, 다들 현실적으로는 쉽지 않은 방안"이라고 전했다.

 

베이징상하이 연합뉴스./한중21 제휴사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