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왕이외교부장, 방한방일 동시취소, " 미국 헛되게 자극할 필요없다?"

 

중국의 왕이 외교부장이 다음주 중에 한국과 일본을 방문해, 대미 관계문제등을 협의하려던 계획을 취소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어제 5일 한중 외교소식통들에 의해 확인된 왕이부장의 방한 취소배경은, 미국의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방한 일정이 취소된 것과 무관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당초, 미국 한국 일본등 4자대화에 미온적인 태도를 취한 한국을 방문해 대중전선에 공동참여를 압박하려 했으나, 중국의 반발을 고려해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었다.

 

중국 왕이부장의 방한계획관련 보도는, 미국 폼페이오장관의 방한 보도와 맞물려 나온 것이 사실이었던 것으로 확인된바 있는데, 폼페이오장관이 방한을 취소한 마당에 왕이부장이 한중간 특별한 현안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굳이 한국을 방문해 미국내 반중 여론을 불러일으킬 필요가 없다고 판단 한 것으로 풀이된다.

 

물론 한국방문과 동시에 방문하려던 일본에 새로운 스가총리가 취임한 것도 현안이라면 현안이지만, 신임총리가 전임 아베총리의 그림자에 불과하고 정당이 바뀐 총리취임도 아니기에,  왕이부장의 방문으로 일본의 친미성향이 바뀔리도 만무하다고 판단해, 동시취소를 결정했을 것으로 봐야 할 것이다.

 

그렇게 본다면, 당초 폼페이오의 방한취소로 인해 곧 왕이부장의 방한취소도 거의 동시에 결정됐을 가능성이 컸다고 외교소식통들은 분석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