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외교부 "WHO 전문가팀, 우한연구소·화난시장 방문 예정"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기원을 밝히기 위해 중국 우한(武漢)에 체류중인 세계보건기구(WHO) 전문가팀의 방문 일정에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와 병원, 화난(華南) 수산물시장 등이 포함될 것이라고 중국 당국이 29일 밝혔다.

 

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WHO 전문가팀의 향후 일정에 대해 "(WHO 전문가팀의) 다음 일정과 어디를 방문할 것인지는 양측이 사전에 달성한 공통 인식에 따를 것"이라며 "코로나19의 특성과 감염 상황을 과학적이고 전문적으로 연계해서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오 대변인은 "방금 언급한 장소에 전문가팀이 모두 갈 것"이라며 "전문가팀은 적절한 시기에 대외적으로 연구 결과 등을 발표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이어 "내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WHO 전문가팀의 활동은 (코로나19 근원에 대한) 국제적인 연구의 일부분이지 조사를 하는 것이 아니다"며 "양측은 이미 화상 방식으로 여러 차례 교류를 해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각자의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다음 단계의 협력을 심화하는 것은 국제적인 연구에 도움이 된다"면서 "각국 고위 관료나 기자는 어찌 됐든 과학자가 아니기 때문에 전문가팀에 대한 지원과 신뢰를 충분히 주고, 불필요한 간섭을 줄여야 한다"고 역설했다.

 

자오 대변인은 또 "중국은 개방적이고, 투명하고, 책임 있는 태도로 WHO 전문가팀과 협력해 나갈 것"이라며 "미래의 위험을 예방하고, 각국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는 데 공헌하겠다"고 덧붙였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