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지방정부들, 핵심 첨단산업에 '공급망 책임자' 임명

 

중국 지방정부들이 기술자립 노력의 일환으로 첨단산업에 군 사령관과 유사한 '공급망 책임자'를 속속 임명하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7일 보도했다.

 

미중 기술 전쟁 속에서 인공지능(AI)이나 반도체와 같은 첨단산업 공급망을 관리하기 위해 앞다퉈 군사 지휘체계에 준하는 공급망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책임자를 임명한다는 설명이다.

 

광둥성 광저우시는 최근 최고위 간부들을 특정 산업의 총책임자로 임명하고, 인공지능, 반도체 등 핵심 사업의 대표들을 '공급망 소유주'로 임명했다.

 

광저우 정부는 지난 25일 홈페이지를 통해 이를 발표하며 "이 새로운 지휘체계의 목적은 정부의 계획에 집중해 공급망의 안전과 안정을 확립하기 위한 것"이라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혼란으로부터 공급망을 더 잘 보호하기 위한 조직적 조정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광저우 정부 공급망 책임자는 5개 단계로 구성된다.

 

당서기나 시장이 총책임자를 맡고 그 밑에서 부시장이 산업 발전을 감독한다. 이어 정치자문위원회 대표 등 10명의 관리가 지자체 단계 공급망 책임자로 활동하는 식이다.

 

대만 경제연구원 애리사 류는 미중 기술 전쟁에서 중국이 미국 의존도를 줄이고 미국을 따라잡아야 할 시급성이 이 새로운 지휘체계에 반영됐다고 분석했다.

 

그는 "미중 간 경쟁과 분쟁은 지속될 것"이라며 "반도체는 여전히 기술전쟁의 핵심이며 이러한 상황은 중국 관리들이 산업을 지원할 새로운 정책을 고안하도록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광저우에 앞서 선전시에서는 지난 5월 왕웨이중(王偉中) 당서기가 반도체 공급망의 책임자로 임명됐다.

 

왕 당서기는 당시 중국 경제일보와 인터뷰에서 "불공정한 미국의 제제에 맞서 우리는 우리 손으로 핵심 기술을 장악해야한다고 깊이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5세대 이동통신(5G), 스마트자동차, 인공지능 등에도 공급망 책임자가 임명됐다고 소개했다.

중국 첨단기술의 허브로 불리는 선전은 미국의 제재로 타격을 입었다.

 

화웨이 등 선전에 둥지를 튼 기업들은 2019년 미국의 수출규제 블랙리스트에 올라 미국의 핵심기술 접근을 제한받고 있다.

 

공급망 책임자를 임명하는 발상은 2017년 중국 후난성 창사시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이후 2019년 저장성, 지린성, 장쑤성, 후베이성, 산둥성 등으로 퍼져나갔다.

 

아직 중국 정부가 이러한 직책을 공식적으로 승인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지방정부가 중국 정부의 공급망 안보를 위한 목표에 보조를 맞추고 있음을 보여주는 이러한 흐름을 막을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SCMP는 관측했다.

 

이어 중국 정부가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의 경제 책사인 류허(劉鶴) 부총리에게 최근 국가 반도체 개발 책임을 맡기게 된 게 비슷한 맥락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상무부 산하 싱크탱크의 메이신위 연구원은 "과거에는 지방 관리들이 단일 프로젝트에 집중했다면 공급망 책임자 체계로 이제는 산업망 전체를 조망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11월 장쑤성 우시의 당서기가 현지 반도체 공급망 책임자를 자임한 후 한국 반도체기업 SK하이닉스의 새로운 공장 건설 계획의 빠른 진행을 약속했다고 전했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