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오징어게임' 中평점사이트 드라마순위 1위

 

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넷플릭스는 현재 세계 80여 개 국가에서 구독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서비스 제공 국가에 중국은 빠져 있다. 중국 정부의 이른바 '만리방화벽'에 막혀 인구 14억4천만 명의 세계 최대 시장에 발을 들여놓지 못하고 있다.

넷플릭스의 한국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게임'의 인기는 '만리방화벽'도 막지 못했다. 한국 드라마 최초로 미국 넷플릭스에서 1위를 차지한 열풍이 이어지며 중국에서도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지난 26일 '오징어게임'은 중국 평점 플랫폼 사이트 더우반(豆瓣)의 실시간 영화·드라마 인기 순위 1위에 올랐다. 드라마를 보고 점수를 매긴 참가자만 10만 명이 넘는다. 중국 최대 소셜미디어 웨이보(微博)에서는 '오징어게임'이 인기 검색 화제 순위 9위까지 올랐다. '#오징어게임#' 해시태그의 웨이보 누적 조회 수는 12억 건에 달한다.

짧은 동영상 앱 틱톡의 중국 내 버전 더우인(抖音)에도 '오징어게임' 관련 게시물이 급증하고 있다. 드라마에 등장하는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달고나 설탕뽑기' 등을 패러디한 영상들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지난 17일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오징어게임'은 사업·투자 실패 등으로 사회에서 막다른 길에 몰린 456명이 섬에 갇혀 465억 원의 상금을 걸고 벌이는 서바이벌 장르 드라마다. 26일 OTT 순위 사이트 플릭스 패트롤 집계를 보면 66개국에서 1위를 차지했다. 넷플릭스 서비스가 없는 중국에서는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나 우회 접속 가상사설망(VPN)을 통해 유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