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오징어게임' 中평점사이트 드라마순위 1위

 

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넷플릭스는 현재 세계 80여 개 국가에서 구독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서비스 제공 국가에 중국은 빠져 있다. 중국 정부의 이른바 '만리방화벽'에 막혀 인구 14억4천만 명의 세계 최대 시장에 발을 들여놓지 못하고 있다.

넷플릭스의 한국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게임'의 인기는 '만리방화벽'도 막지 못했다. 한국 드라마 최초로 미국 넷플릭스에서 1위를 차지한 열풍이 이어지며 중국에서도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지난 26일 '오징어게임'은 중국 평점 플랫폼 사이트 더우반(豆瓣)의 실시간 영화·드라마 인기 순위 1위에 올랐다. 드라마를 보고 점수를 매긴 참가자만 10만 명이 넘는다. 중국 최대 소셜미디어 웨이보(微博)에서는 '오징어게임'이 인기 검색 화제 순위 9위까지 올랐다. '#오징어게임#' 해시태그의 웨이보 누적 조회 수는 12억 건에 달한다.

짧은 동영상 앱 틱톡의 중국 내 버전 더우인(抖音)에도 '오징어게임' 관련 게시물이 급증하고 있다. 드라마에 등장하는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달고나 설탕뽑기' 등을 패러디한 영상들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지난 17일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오징어게임'은 사업·투자 실패 등으로 사회에서 막다른 길에 몰린 456명이 섬에 갇혀 465억 원의 상금을 걸고 벌이는 서바이벌 장르 드라마다. 26일 OTT 순위 사이트 플릭스 패트롤 집계를 보면 66개국에서 1위를 차지했다. 넷플릭스 서비스가 없는 중국에서는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나 우회 접속 가상사설망(VPN)을 통해 유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