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헝다그룹, 5조9000억원 지분 매각

 

중국 2위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恒大. 에버그란데)그룹이 계열사 지분 매각으로 약 400억 홍콩달러(약 5조9000억 원)를 마련했다.

헝다그룹은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다. 다만 이번 조치로 유동성 위기를 완전히 벗어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4일 중국 경제 매체 차이롄서(財聯社)에 따르면 중국 부동산업체인 허성촹잔(合生創展·Hopson Development)은 헝다의 부동산 관리사업 계열사 헝다물업(物業) 지분 51%를 인수했다.

헝다물업은 헝다그룹의 곳간 기업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헝다는 부동산 개발과 관리를 모태로 성장한 회사다. 특히 물업은 기존에 분양된 부동산들을 관리하고 수익을 내는 케시카우다. 헝다그룹이 유동성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최고의 캐시카우마저 매각한 것이다.

이번 딜의 가격은 약 400억 홍콩달러로 알려졌다. 50%+1의 룰에 의해 경영권도 넘어갔다.

이번 지분 매각으로 헝다그룹의 유동성 위기는 단기적으로 일부 완화될 전망이다. 하지만 약 3000억 달러(약 350조 원)에 달하는 전체 부채 규모를 고려하면 사업 정상화는 여전히 불투명하다는 분석이다.

헝다그룹은 부동산 회사여서 현재 개발이 진행 중인 개발 프로젝트 자체가 부채로 잡혀 있다. 즉 이자가 나가지 않는 채무도 상당하다는 의미다.

다만 헝다그룹은 그룹 확장 과정에서 이자를 내는 금융 레버리지를 과도하게 일으켰고, 전기차 사업 등 확장했던 사업들이 제대로 수익을 내지 못하면서 유동성 위기에 빠진 것이다.

앞서 헝다그룹은 지난달 29일에도 자회사가 보유한 성징(盛京)은행 지분 19.93%를 99억9300만 위안(약 1조8300억 원)에 매각한 바 있다.

유동성 위기로 헝다그룹과 계열사 주가는 연초 대비 최대 80% 떨어졌다. 4일 기준 시가총액이 헝다그룹 391억 홍콩달러, 헝다물업 554억 홍콩달러 수준이다. 아직 채무불이행(디폴트)에 이르지는 않았지만 지난달 달러채권 이자를 제대로 지급하지 못하면서 헝다그룹 파산설이 끊이지 않고 있다.

헝다그룹, 헝다물업, 허성촹잔은 4일 홍콩 증시 개장을 앞두고 거래를 잠정 중단한다고 공시했다. 이후 헝다그룹 파산설로 불안심리가 확산돼 4일 홍콩 항셍 지수는 2.19% 하락 마감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