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사회 통제 강화 속 종교계 규제도 더 엄격해져

 

중국 당국의 종교계에 대한 통제도 강화하고 있어 주목된다.

중국 당국은 시진핑 정권이 들어서면서 중국 내부의 각종 종교활동에 대한 국가적 통제를 강화해왔다. 

최근 강화된 사회통제의 일환으로 보여진다.

중국 정부는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3연임(총 재임기 15년으로 연장)을 확정짓는 올 하반기 20차 당 대회를 앞두고 지난해부터 사회 통제를 강화해왔다.

개혁·개방 이후 발생한 각종 부작용을 해소한다는 명분으로 빅테크(대형 기술기업)에 대한 고강도 규제, 대중문화계와 온라인 공간에 대한 홍색 정풍운동, 게임업계 및 사교육 시장 단속 등을 추진해오고 있다. 여기에는 이를 통해 사회주의 요소 강화, 1인 영도체제 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겠다는 복안이 깔려 있다.

중국 종교계 또한 ‘중국 특색 사회주의의 새 시대’로 규정된 시 주석 체제에 맞춰 변화가 불가피해 보인다.

시 주석은 지난해 12월 3~4일 베이징에서 열린 전국종교공작회의에서 '종교의 중국화'를 심도 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종교의 중국화’는 기존 종교와 중국 사회주의의 상호 적응을 의미한다. 종교계에서 애국주의·집단주의·사회주의 교육을 전개하고, 중국공산당과 중화문화를 선양하는 활동에 적극 나서라는 주문이다.

시 주석의 전국종교공작회의 연설에 맞춰 종교계에 대한 통제 강화 조치도 즉각적으로 나왔다. 중국 국가종교사무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 국가안전부 등 5개 부서가 공표한 '인터넷 종교정보서비스 관리 방법'이다.

‘인터넷 종교정보서비스 관리 방법’은 오는 3월부터 외국 단체나 개인이 주관하는 예배, 미사, 법회 등 종교의식의 인터넷 중계를 금지한다.

또 지침상 허용하는 중국 종교단체를 제외하고는 어떠한 조직이나 개인도 인터넷에서 포교, 종교 교육 및 훈련, 종교 명목의 모금활동 등을 할 수 없도록 했다.

이같은 정부 지침을 따르지 않을 경우 종교계 역시 강도 높은 처분 대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홍콩 명보에 따르면 해외 기독교 서적을 불법 판매한 혐의로 구속된 중국 온라인 서점 대표가 지난 8일 항소심에서 징역 7년에 벌금 20만 위안(약 3700만 원)을 선고받았다.

 

 


사회

더보기
중국 국경절 연휴 앞두고 베이징 호텔에 '계단 객실' 등장
중국에 한 때 '개미굴'이라는 형식의 주거 형태가 유행했다. 지방에서 도시로 올라온 농민공들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거주비를 감당할 수 없자 일부 건물주들이 지하 건물의 복도에 간이 형식의 방을 만들어 놓고 농민공들에게 대여를 해 주거하도록 한 것이다. 베이징, 상하이 등지의 도시에서 한 때 유행했다가 시진핑 정권 들어와 몇 차례 화재가 발생해 막대한 인명 피해를 내자 당국이 단속을 해 없앴다. 개미굴이 다시 유행한다는 소리가 아직까지 없는 것으로 보아 농민공에게는 다른 형태의 주거 방식이 제공되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개미굴은 홍콩의 비둘기집에 비해서는 그래도 양반이라는 평을 듣는다. 홍콩 역시 주거비가 높기로 유명한데, 중국 본토에서 몰려든 노동자들이 방 하나에 2, 3층의 침대를 설치하고 살면서 비둘기들처럼 좁은 곳에 밀집해 있다고 해서 비둘기집이라고 불렀다. 중국 인구가 워낙 많다보니 가난한 이들의 주거환경은 개미굴이나 비둘기집처럼 열악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호텔에 '계단 객실'이 등장해 화제다. 중국 중추절·국경절 연휴(9월 29일~10월 6일) 여행 성수기를 앞두고 베이징의 한 호텔에 '계단 객실'까지 등장했다. 25일 중국 현재 매체 펑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