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코로나19 확산 中 3월 제조업 PMI 50 아래로 떨어져

 

코로나 재확산으로 중국 제조업 경기가 다시 축소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제조업 PMI(구매관리자지수)는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로 기업 관계자 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된다. 기준선인 50보다 위에 있으면 경기 확장 국면, 50보다 밑에 있으면 경기 위축 국면으로 본다.

31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 3월 제조업 PMI가 전달의 50.2보다 낮은 49.5로 집계됐다.

중국 제조업 PMI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50 위에 있었으나 5개월 만에 다시 50 밑으로 떨어져 경기 위축 국면에 재진입했음을 나타냈다.

또한 서비스업 경기를 반영하는 3월 비제조업 PMI도 48.4로 전달의 51.6보다 크게 내려가 7개월 만에 다시 50 밑으로 떨어졌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중국 3월 PMI 악화에는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3월 들어 중국 전체 31개 성급 행정구역 가운데 28곳에서 코로나19가 동시다발적으로 확산하면서 이달 누적 감염자만 7만 명을 넘어섰다.

특히 중국의 첨단기술 허브인 광둥성 선전, 금융 중심지인 상하이 등 경제 선도 지역이 봉쇄되면서 중국 전체 경제에 끼치는 여파가 커졌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중국이 올해 목표한 5.5% 경제성장률 달성도 어려워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UBS 등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최근 중국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5.5% 수준에서 5.0% 내외로 하향 조정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