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차이나모바일 1~3분기 영업이익 7235억 위안

 

7235억 위안(약 143조 원).

중국 차이나모바일(中国移动)의 올 3개 분기 영업이익이다. 한국의 최고 기업인 삼성전자 올 3분기 영업이익이 10조를 조금 넘는 수준이다. 중국 이동통신의 영업 규모를 짐작케한다.

사실 결국 인구 덕이다. 인구가 많다보니 통화 이용량도 많고 영업 규모도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큰 것이다. 과거 SK에서 이 이동통신 지분을 확보하고 협력했지만 결국 중단되고 말았다. 많은 아쉬움을 남기는 투자사례다. 

중국 차이나모바일은 중국 3대 통신사 중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

차이나모바일이 최근 3분기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차이나모바일의 1~3분기 영업이익은 7235억 위안(약 143조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1.5% 증가했으며, 순이익은 985억 위안(약 19조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3.3% 증가했다.

올해 1~3분기 차이나모바일의 수입 구조는 지속해서 조정되어왔다.

주요 사업 매출은 6201억 위안으로 작년 동기 대비 8.3% 증가했으며, 기타 사업 매출은 1034억 위안으로 작년 동기 대비 36.4%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3분기 말까지 유선 광대역 고객 수는 2억6500만 가구로 1~3분기 동안 2482만 가구가 늘었다. 그 중 가정용 광대역 고객은 2억3800만 가구로 1~3분기 동안 1966만 가구가 늘었다. 3분기 동안 유선 광대역의 ARPU(고객당 평균 수입)은 34.8위안으로 작년 동기 대비 0.2% 증가했으며, 가정 고객의 종합 ARPU는 41.1위안을 작년 동기 대비 3.2% 증가했다.

9월 30일 기준 차이나모바일의 총 고객 수는 약 9억7400만 명으로 1~3분기에 1715만 명이 증가했다. 이 중 5G 패키지 고객 수는 5억5700만 가구이며, 5G 네트워크 고객 수는 2억9200만 가구에 달했다. 올해 3분기 동안 모바일 ARPU는 50.7위안으로 작년 동기 대비 1.0% 증가했다.

차이나모바일은 5G 품질 개선 및 개발에 투자를 확대하여 고객의 디지털 소비 욕구를 더욱 충족시키고 모바일 ARPU의 꾸준한 성장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