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전역에서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대도시들이 잇달아 봉쇄에 나섰다. '코로나 제로' 방역 조치가 지속되는 것이다. 문제는 경제가 중국이 이 같은 방역 대응에 경기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침체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신호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중국은 올해 정권 교체를 한다. 10년의 시진핑 정권이 물러나고, 새로운 임기 없는 시진핑 정권이 탄생한다. 본래 중국 정권은 10년마다 교체됐지만, 시진핑 정권은 '시진핑' 핵심의 새로운 구조로 탄생해 권력을 이어갈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이런 민감한 상황에서 중국 경제의 침체는 새로 탄생할 정권에 적지 않은 부담이어서 주목된다. '시진핑' 핵심이 연장되면서 현 침체에 대한 책임을 떠밀 곳도 없기 때문이다. 2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윈회에 따르면 전날 중국 전역에서 1839명의 신규 감염자가 발생했다. 지역별로는 시짱(티베트)자치구 621명, 헤이룽장성 218명, 쓰촨성 205명, 칭하이 130명, 랴오닝성 119명, 하이난 102명, 광둥성 96명 순이었다. 지난 6월 두 자릿수까지 떨어졌던 신규 감염자는 7월부터 늘기 시작해 이달 들어 매일 2000명에 육박하고 있다. 지역도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
 
								세계 주요국 가운데 유일하게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는 중국의 톈진시 당국이 최근 코로나 확산의 원인으로 한국산 수입품을 지목했다. 지금까지 코로나 감염 사례에서 물건에 코로나 바이러스가 살아남아 전해진 사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중국은 꾸준히 한국산 물건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해지고 있다고 우기고 있는 것이다. 한국 정부는 가만히 있을 게 아니라, 항의를 통해 사실 여부에 대한 주장을 남겨놔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1일 현지 매체에 따르면 톈진시 질병통제센터 한진옌 주임은 이날 방역 상황 관련 기자회견에서 “지난달 27일부터 현재까지 약 200명의 누적 감염자가 나온 시칭구 연쇄 감염의 근원이 한국산 수입 물품일 가능성이 극도로 크다"고 말했다. 톈진시의 코로나19 연쇄 감염의 기원이 한국산 수입 물품이라고 공개적으로 주장한 것이다. 한 주임은 그 근거로 "초기 감염자 유전자 서열이 한국에서 최근 공유한 유전자 서열과 차이가 가장 작다"며 "근래 초기 감염자 가정에 있던 한국산 수입 물품, 특히 한국에서 수입한 냉동식품의 표본에서 양성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중국 당국은 앞서 지난 3∼4월에도 중국 일부 지역의 코로나19
 
								 중국의 예기(礼记) 곡례상(曲礼上) 편에는 “礼尚往来,往而不来,非礼也,来而不往,亦非礼也”라는 말이 있다. "오는 게 있으면 가는 게 있어야 한다. 가기만 하고 오지 않으면 예의에 어긋나고, 오기만 하고 가는 게 없어도 예의에 어긋난다"라는 의미이다. 즉, 예의는 한 사람만 갖출 것이 아니라 양쪽 다 갖춰야 한다는 의미이며, 이 문장을 통해 중국인들이 선물을 얼마나 중시하는지 알 수 있다. 친구를 오랜만에 만날 때나 비즈니스 미팅 자리 등 다양한 상황에서 중국인들은 빈손으로 오는 경우가 거의 없을 정도로 항상 선물을 준비한다. 중국에서 선물을 주는 것은 예의를 표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특히 비즈니스 자리에서는 중국 문화에 맞춰 적절한 선물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중국인에게 선물을 할 때 지켜야할 예절과 선물하면 안 되는 물건을 살펴보았다. 1. 선물을 줄 때 지켜야할 기본 예절 우선 친한 사람에게 선물을 할 때는 공개적인 장소에서 하지 않는 게 좋다는 인식이 있다. 공개적인 장소에서 선물을 한다면 친한 관계가 물질적인 것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꼭 공개적인 장소에서 선물을 줘야 한다면, 비싸지 않으면서도 특별한 감정을 표현하는
 
								한국 조석 작가의 웹툰 '문유'를 토대로 만든 중국 SF영화 '두싱웨추(獨行月球·달에서 홀로 걷다)'가 5500억 원이 넘는 흥행 수입을 올렸다. 중국 인기 영화 장르가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어 주목된다. 그만큼 중국의 영화 제작 실력이 늘고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아직 스토리 구성 등에서는 작위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각종 IT기술을 활용한 부분에서는 이미 글로벌 수준에 육박하고 있다. 그만큼 큰 시장에서 벌어들이는 막대한 수익이 발전의 원동력이다. 29일 중국 영화 예매 사이트 '먀오옌'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개봉한 두싱웨추는 29일 오후 2시(현지시간) 기준 28억6400만 위안(약 5576억 원)의 흥행 수입을 올렸다. 이는 올해 중국에서 개봉된 영화 중 '장진호의 수문교'(흥행수입 40억6000만 위안)에 이어 2위에 해당하는 성적이다. 장츠위 감독이 연출하고, 정상급 배우인 선텅이 주연한 이 작품은 달에 홀로 남겨진 연구원의 고군분투를 그렸다. 원작의 토대 위에 주인공이 상사를 연모하는 내용과 마지막에 인류를 구하기 위한 주인공의 희생 관련 내용을 가미했다. 중국에서 작년 11월 영화 제목과 같은 타이틀로 만화 번역본이 먼저 출판됐고, 뒤
 
								사상 최악의 폭염과 가뭄을 겪는 중국이 인공적으로 비를 내리게 만드는 시도에 적극 나서고 있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중국 31개 성(省)급 지역(직할시·자치구 포함) 중 최소 10곳이 인공 강우 수단을 썼다고 27일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쓰촨성, 충칭시, 안후이성, 장쑤성, 후베이성 등 주로 중부와 남부 지역 성과 도시들이 강우 로켓과 드론 등을 이용해 인공 강우(중국에서는 인공 증우로 표현)를 시도했으며 일부 효과도 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기상국은 이달 들어 중국 전역에서 91차례 항공기를 띄워 총 누적시간 260시간에 걸쳐 인공 강우용 '구름 씨 파종'(cloud-seeding)을 했고, 11만6000개의 '강우 폭탄', 2만5000발의 증우 로켓, 2000발의 연소탄 등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 25일 충칭에서는 강우 로켓 4발이 발사돼 비가 내렸고 기온도 9.2도 떨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같은 날 인공 강우용 드론 2기를 띄운 쓰촨성은 600㎢ 범위에 걸쳐 상당량의 비를 유발함으로써 가뭄 완화에 도움이 됐다. 인공 강우는 무인기를 포함한 항공기, 로켓 등 수단을 활용해 요오드화 은(銀) 입자, 드라이아이스 등 촉매제를 공중으로 발사
 
								'2022 중국국제서비스무역교역회(CIFTIS)'가 오는 31일부터 9월 5일까지 베이징 국가컨벤션센터와 서우강(首鋼) 산업단지에서 개최된다. CIFTIS는 중국수출입박람회, 중국국제수입박람회와 함께 중국 3대 대외 개방 전시회로 꼽히는 행사다. 국무원 신문판공실은 최근 브리핑을 통해 다음주 개막하는 ‘2022 CIFTIS’가 현재 대부분 준비를 마쳤다고 전했다. 올해 CIFTIS는 지난해처럼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열려 디지털금융 등 9가지 테마 전시가 마련된다. 전시 면적은 15만2000㎡로 작년보다 2만6000㎡가 확대됐다. 행사 기간 동안에 총 7회의 서밋, 128회의 테마포럼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개막일인 31일 저녁에는 ‘글로벌 서비스 무역 서밋’이 열릴 예정이다. 양진바이(楊晋柏) 베이징시 부시장은 이번 행사에 오프라인으로 참가하는 기업 수는 1407개로 지난해보다 13.8% 증가했다고 밝혔다. 오프라인 참가 기업에는 세계 500대 기업 및 업계 선두 기업 446개가 포함됐다.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2012년 이후 중국의 서비스 무역은 연평균 6.1% 성장해 가파른 성장세를 유지했다. 서비스 무역 규모는 2014년부터 8년 연속 미국에 이어 세계
 
								한중 수교 30주년 기념행사가 24일 오후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됐다. 주중 한국 대사관에 따르면 이날 행사가 열린 댜오위타이(釣魚臺) 17호각은 30년 전 한중 대표가 수교에 서명한 장소다. 1992년 8월 24일 이곳에서 이상옥 한국 외무장관과 첸치천 중국 외교부장이 '한중 외교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성명'에 서명하며 양국은 적에서 협력 파트너로 거듭났다. 이번 장소 선정은 미중 전략경쟁 속에 한중관계가 구조적 도전에 직면한 상황에서 30년 전 '초심'을 되살리려는 중국 측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이날 행사는 한국 측 대표인 정재호 주중 한국대사와 중국 측 대표인 왕이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행사장에 입장하면서 시작됐다. 코로나19 확산을 우려해 참석자는 양국에서 각각 100여명으로 제한된 가운데 진행됐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왕이 외교부장이 대독한 축하 서신을 통해 "나는 중한관계 발전을 고도로 중요시한다"며 "수교 30주년을 새 출발점으로 삼아 양측이 대세를 파악하고 방해를 배제하며 우정을 다지고 협력에 초점을 맞춰나가자"고 강조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와 주중 대사관이 중국 베이징 쿤룬호텔에서 25일 'K-라이프스타일 인 베이징' 전시상담회를 개최한다. 올해가 세 번째인 이번 행사에는 중국 수출 경험이 없는 중소기업을 포함해 농심, 풀무원, LG생활건강 등 대기업까지 총 148개 국내 기업이 참가해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제품을 중국 소비자들에게 선보일 예정이다. 또한 중국의 대표 소비재 유통기업 바이트댄스 등 중국 바이어 150개사가 참가해 일주일 동안 한국 기업들과 일대일 온·오프라인 수출상담회를 진행한다. 이번 행사에 참여한 기업들은 다음달 5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대형 전시회 '중국서비스무역교류회'에도 참가해 중국 바이어들과 상담을 이어갈 예정이다. 코트라 베이징무역관은 왕훙(網紅)을 통해 판촉 활동을 펼치는 한편 중국 현지 대표 O2O(온·오프라인 연계) 유통매장과 온라인 플랫폼에 우리 제품이 입점할 수 있도록 연말까지 다양한 지원을 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코트라는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아 주상하이 총영사관 등과 협업해 상하이에서 비즈니스 교류 행사인 '2022년 한중 경제협력 플라자'를 진행한 바 있다. 행사의 일환으로 6월 30일부터 7월 6일까지 한국 우수 상품 판촉전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위 애플이 생산기지 다변화를 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중 갈등이 격화하면서 생산에서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중국 내부 생산시 중국 당국의 제재가 있을 수 있다는 불안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었다. 23일 블룸버그통신은 애플이 다음 달 출시 예정인 아이폰14 모델을 올 가을부터 인도에서도 생산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애플은 아이폰의 인도 생산량을 늘리고 새 모델 출시 초기에 생산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는 기간을 이전의 6∼9개월보다 줄이기 위해 공급업체와 논의 중이다. 애플의 최대 협력업체인 폭스콘도 중국 내 부품을 인도 남부 첸나이 외곽의 자사 공장으로 보내 아이폰 14를 조립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9월 초로 예상되는 아이폰14 출시 이후 10월 말이나 11월쯤 아이폰14 인도 내 생산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애플은 그동안 주요 제품 생산을 중국에 크게 의존했으나 미중 갈등과 중국 당국의 엄격한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중국 내 협력업체들의 생산 안정성이 떨어지면서 생산지 다변화 작업을 꾸준히 벌여왔다. 애플은 올해 인도에서 현재 주력 판매 모델인 아이폰13 생산
 
								최근 수년간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수산화리튬과 코발트, 천연 흑연 등의 대(對)중국 의존도가 더욱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1~7월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수산화리튬(산화리튬 포함) 수입액 17억4829만 달러 가운데 중국 수입액이 14억7637만 달러로 84.4%를 차지했다. 이어 칠레 수입액이 2억2657만 달러로 13.0%, 러시아가 3029만 달러로 1.7%였다. 같은 기간 코발트(산화코발트)도 전체 수입액 1억5740만 달러 가운데 중국 수입액이 1억2744만 달러로 81.0%를 기록했다. 천연 흑연의 경우 전체 수입액 7195만 달러 중 6445만 달러가 중국산으로, 비중이 89.6%에 달했다. 이들 자원의 중국 수입 의존도는 갈수록 높아지는 추세다. 수산화리튬의 중국 수입 의존도는 2018년 64.9%에서 지난해 83.8%로 18.9%포인트(p) 올랐고 같은 기간 코발트는 53.1%에서 64.0%로 10.9%p 상승했다. 천연 흑연도 83.7%에서 87.5%로 3.8%p 상승했고 올해 들어서는 90%에 근접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제정으로 내년부터 배터리